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소만후(小滿後)[근농가(勤農歌) 2 페이지 / 전적]

소만이 지난 후에. 소만은 절기 이름으로 입하와 망종 사이에 있으며 음력 5월 21일 경.

소멸(掃滅)[권왕가 36 페이지 / 전적]

싹 쓸어서 없애는 것.

소멸(消滅)[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 페이지 / 전적]

사라져 없어짐.

소멸(消滅)[한양가라 13 페이지 / 전적]

사라져 없어짐.

소멸掃滅)[권왕가 46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428 참조.

소멸사독(消滅巳毒)[정기안심가(定基安心歌) 7 페이지 / 전적]

뱀독이 사라져 없어짐.

소모관[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30 페이지 / 전적]

의병을 모집한 임시 관리.

소목(昭穆[장씨부인역사라 6 페이지 / 전적]

종묘나 사당에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차례. 왼쪽 줄을 소(昭)라 하고, 오른쪽 줄을 목(穆)이라 하여 1세를 가운데에 모시고 2세, 4세, 6세는 소에 모시고, 3세, 5세, 7세는 목에 모심.

소목(昭穆[장씨부인역사라 6 페이지 / 전적]

종묘나 사당에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차례. 왼쪽 줄을 소(昭)라 하고, 오른쪽 줄을 목(穆)이라 하여 1세를 가운데에 모시고 2세, 4세, 6세는 소에 모시고, 3세, 5세, 7세는 목에 모심.

소몽조[용문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소몽조라. ‘소몽’은 호(號)로 되고 ‘조(祖)’는 ‘할아버지’라는 말이다. 자기 계파의 할아버지를 일컫는 말이다.

소무(蘇武)[오륜가라 17 페이지 / 전적]

자는 자경(子卿). 두릉(杜陵:지금의 산시 성[陝西省] 시안 시[西安市] 동남쪽) 사람이다. 아버지 소건(蘇建)은 대장군(大將軍) 위청(衛靑) 휘하에서 공신이 되었고, 소무는 어려서 낭(郞)이 되었다. 무제(武帝) 때인 BC 100년에 중랑장(中郞將)으로서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체포되어 항복을 강요받았다. 그러나 절의를 굽히지 않고 이를 거부하자 바이칼 호 주변의 황야로 보내져 19년에 걸친 억류생활을 했다. 소제(昭帝)가 즉위한 후 흉노와

소무(蘇武)[한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기원전140~80년에 중국 전한 때의 명신. 흉노에게 포로가 되었으나 19년간의 유폐기간에도 굴복하지 않고 귀국하였음. 이때 이릉이 설득하였으며, 서로 눈물로 이별한 것이 전하고 있음. 이릉이 人生如朝露라고 하니 소무가 何久自苦如此라고 대답하며 슬퍼했다는 것.

소무(蘇武)[북쳔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한의 정치가.자는 자경(子卿).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잡혀 19년간 억류되었다가 귀국했는데, 절개를 굳게 지킨 공으로 전속국(典屬國)에 임명되었다.

소무(蘇武)의[팔도가 9 페이지 / 전적]

소무(蘇武)의 간양도(間羊島) 한무제 때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어 북해에 유배되었다가 19년 뒤에 돌아와 흉노의 지리와 정보로 한무제의 흉노 정벌에 기여하여 관내후에 봉해졌음.

소무(蘇武)의[팔도가 9 페이지 / 전적]

소무(蘇武)의 간양도(間羊島) 한무제 때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어 북해에 유배되었다가 19년 뒤에 돌아와 흉노의 지리와 정보로 한무제의 흉노 정벌에 기여하여 관내후에 봉해졌음.

소무(韶武)[송강집(松江集三)3 27 페이지 / 전적]

소(韶)는 순(舜)의 악(樂)이고 무(武)는 무왕(武王)의 악임.

소무절(蘇武節)[오륜가라 12 페이지 / 전적]

소무(蘇武)는 한(漢) 나라의 두릉(杜陵) 사람이다. 건(建)의 아들로 자는 자경(子卿)이다. 무제의 천한(天漢) 초에 중랑장(中郞將)으로 흉노에 사행(使行)하였다가 대교(大窖) 중에 억류된 지 19년 만에 소제(昭帝)가 흉노와 화친하자 돌아왔는데 흉노 사행 때 가지고 간 절(節)을 소무절(蘇武節)이라 한다.

소무절(蘇武節)[가사소리 12 페이지 / 전적]

소무(蘇武)는 한(漢) 나라의 두릉(杜陵) 사람이다. 건(建)의 아들로 자는 자경(子卿)이다. 무제의 천한(天漢) 초에 중랑장(中郞將)으로 흉노에 사행(使行)하였다가 대교(大窖) 중에 억류된 지 19년 만에 소제(昭帝)가 흉노와 화친하자 돌아왔는데 흉노 사행 때 가지고 간 절(節)을 소무절(蘇武節)이라 한다.

소문(蘇文)[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3 페이지 / 전적]

연개소문.

소문객종(笑問客從)[형제이회가(형이회가) 5 페이지 / 전적]

회향우서(回鄕偶書)의 한 구절인 소문객종하처래(笑問客從何處來). 손님은 어디서 오셨나요? 라는 뜻.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