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소문객종(笑問客從)[형제이회가(형이회가) 5 페이지 / 전적]

회향우서(回鄕偶書)의 한 구절인 소문객종하처래(笑問客從何處來). 손님은 어디서 오셨나요? 라는 뜻.

소문국[팔역가(八域歌) 20 페이지 / 전적]

소문리

소문산(蘇門山)[송강집(松江集三)3 26 페이지 / 전적]

명(明)나라 고숙사(高叔詞)의 호(號). 은자(隱者)임

소문산사(蘇門山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0 페이지 / 전적]

「蘇門山辭」- 魏의 隱士 孫登의 字는 公和인데 蘇門山에 隱居하였다. 阮籍이 일찌기 孫登을 찾아 蘇門山에 가서 말을 걸어보았으나 대답이 없고 大笑만하므로 떠나와서 半嶺에 당도하니 휘파람소리가 들리는데 마치 鳳凰의 울음과 같았다. 嵇康이 孫登과 從遊하는데 登은 嵇康더러 「才多識寡 難乎兔於今之世」라 했는데 뒤에 康이 非命에 죽었음.

소문산의 긴 휘파람[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205 페이지 / 전적]

《晉書 阮籍傳》에 ‘완적이 일찌기 소문산에서 손등(孫登)을 만나 신선 도술을 이야기 했는데도 등이 대답하지 않으므로 물러 나왔다. 그런데 반쯤 내려오다가 휘파람 소리를 들으니 난봉(鸞鳳)의 소리와 같았다.‘ 하였음.

소문소견(所聞所見)[효행가(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보고 들음.

소문소견(所聞所見)[효행가(효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보고 들음.

소미(少微)[석천집(石川集二-四)2-4 59 페이지 / 전적]

處士의 別稱

소박(疏薄[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7 페이지 / 전적]

①아내를 박대(薄待)함 ②아내를 미워하여 아내로 생각지 않음.

소박(疏薄[조선국짐대비훈민가라(조션국짐비훈민가라) 7 페이지 / 전적]

①아내를 박대(薄待)함 ②아내를 미워하여 아내로 생각지 않음.

소박(疏薄)[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2 페이지 / 전적]

부인을 박대함.

소박(疏薄)[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0 페이지 / 전적]

처나 첩을 박대함.

소박(疏薄)[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내나 처를 박대함.

소박(疏薄)[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8 페이지 / 전적]

①아내를 박대(薄待)함 ②아내를 미워하여 아내로 생각지 않음.

소박(疏薄)[연행별곡(연별곡) 28 페이지 / 전적]

①아내를 박대(薄待)함 ②아내를 미워하여 아내로 생각지 않음.

소반(素飯)[이별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소밥. 고기반찬이 없는 밥.

소발을……누구이랴[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62 페이지 / 전적]

소발(召茇)은 소공(召公)이 임시 머문 집. 문왕 때에 주공은 안에서 일을 하고 소공은 밖에서 일을 하며 문왕의 덕화를 펴게 했다. 그래서 소공이 임시쉬어간 곳도 함부로 하지 말라는 시가 있는데, 여기서는 남궁 관찰사를 소공에 비하였다. 《詩傳 召南 甘棠》

소밥[당산조션가 6 페이지 / 전적]

소반(素飯)-고기나 생선 따위의 반찬이 없는 밥.

소백[팔역가(八域歌) 45 페이지 / 전적]

주나라 때 선정을 베푼 소공, 문왕의 서자

소백(召伯)[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2 페이지 / 전적]

詩經 召南甘棠小序에 「召伯循行南國 或舍甘棠之下」라 했는데 여기는 本道監司의 捐助를 말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