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소동파(蘇東坡)[기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북송의 시인ㆍ산문작가ㆍ예술가ㆍ정치가. 본명은 소식(苏軾), 자는 자첨(子瞻). 동파는 그의 호로 동파거사(东坡居士)에서 따온 별칭. 아버지 소순(苏洵), 동생 소철(苏轍)과 함께 3소(三苏)라고 일컬어지며, 이들은 모두 당송8대가(唐宋八大家)에 속함.

소동파(蘇東坡)[춘몽가(츈몽가) 23 페이지 / 전적]

중국 오(吳)·송(宋)·양(梁) 등의 도읍지였던 중국 강소성(江蘇省)의 남경(南京).성의 남서부, 양쯔강 남안(南岸), 하구부의 우쑹[吳淞]에서 상류 300km의 지점에 있으며, 주위가 구릉으로 둘러싸여 천연의 요충지를 이룸.

소동파(蘇東坡)[가야희인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소식(蘇軾). 중국 북송의 문인(1036~1101).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東坡).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적벽부〉가 특히 유명함.

소동파(蘇東坡)[허후전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북송시대의 문인 소식(蘇軾)을 이르는 것으로 그의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東坡)였다.당송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구법파의 대표자이며, 서화에도 능하였다.

소동파(蘇東坡)[북쳔가 17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북송 시대의 시인이자 문장가, 학자, 정치가로 본명은 소식(蘇軾), 자(字)는 자첨(子瞻)이고 호는 동파는 그의 호로 동파거사(東坡居士)에서 따온 별칭이다

소동파(蘇東坡)[연행별곡(연별곡) 6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시인.대표작으로는 <적벽부(赤壁賦)>가 있음.

소동파(蘇東坡)[녁대가(녁가) 60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의 문인 소식(蘇軾, 1036~1101). 자는 자첨(子瞻). 호는 동파(東坡). 당송 팔대가의 한 사람으로, 구법파(舊法派)의 대표자이며, 서화에도 능하였음.

소동파(蘇東坡)[춘몽가(츈몽가) 23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제1의 시인.“독서가 만 권에 달하여도 율(律)은 읽지 않는다” 고 해 초유의 필화사건을 일으킴.당시(唐詩)가 서정적인 데 대하여 그의 시는 철학적 요소가 짙었고 새로운 시경(詩境)을 개척.대표작인 《적벽부(赤壁賦)》는 불후의 명작으로 널리 애창됨.

소동파(蘇東坡)[자소가(소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북송 때의 제1의 시인. “독서가 만 권에 달하여도 율(律)은 읽지 않는다” 고 해 초유의 필화사건을 일으킴. 당시(唐詩)가 서정적인 데 대하여 그의 시는 철학적 요소가 짙었고 새로운 시경(詩境)을 개척하였다. 대표작인 <적벽부(赤壁賦)>는 불후의 명작으로 널리 애창됨

소동파(蘇東坡, 1036-1101)[츅친서라 9 페이지 / 전적]

북송시대의 문인, 예술가, 정치가로 본명은 소식(蘇軾), 자는 자첨(子瞻)이다. 동파는 그의 호로 동파거사(東坡居士)에서 따온 다른 이름이다. 중국 사천성(四川省)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소순(蘇洵), 동생 소철(蘇轍)과 함께 ‘3소(三蘇)’라고 일컬어지며, 이들은 모두 당송8대가(唐宋八大家)에 속한다.

소동파(蘇東坡, 1036-1101)[북쳔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송나라 때의 문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

소동파(蘇東坡, 1036-1101)[입추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송(宋)나라 때 문인으로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

소두(召杜)[ 1 페이지 / ]

소(召)는 소신(召信)이며 두(杜)는 두시(杜詩)로 모두 한(漢) 나라 때 남양 태수(南陽太守)가 되어 선정(善政)을 베풀었다. 당시 백성들은 이들을 칭송하여 ‘전에는 소부(召父)가 있었는데, 뒤에는 두모(杜母)가 있었다.‘ 하였다.《後漢書 卷三十一 杜詩列傳》

소두(召杜)[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87 페이지 / 전적]

소(召)는 소신(召信)이며 두(杜)는 두시(杜詩)로 모두 한(漢) 나라 때 남양 태수(南陽太守)가 되어 선정(善政)을 베풀었다. 당시 백성들은 이들을 칭송하여 ‘전에는 소부(召父)가 있었는데, 뒤에는 두모(杜母)가 있었다.‘ 하였다.《後漢書 卷三十一 杜詩列傳》

소두(疏頭)[송강집(松江集五)5 146 페이지 / 전적]

유생(儒生)들이 연명으로 상소할 때 첫머리에 적힌 사람을 소두(疏頭)라 하니 그가 곧 대표자임.

소두무족(小頭無足)[시절가 18 페이지 / 전적]

격암유록(格庵遺錄)에 나오는 비결(秘訣)로 머리가 작고 발이 없음.

소란반자(小欄반자)[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4 페이지 / 전적]

천장장식의 기법을 말하며 반자틀에 소란을 대고 반자널을 얹은 반자.

소랭(蕭冷)하다[조심가라 5 페이지 / 전적]

쓸쓸하고 싸늘하다.

소랭(蕭冷)하다[조심가라 5 페이지 / 전적]

쓸쓸하고 싸늘하다.

소렴(小殮)[자치가라 17 페이지 / 두루마리]

시체에 새로 지은 옷을 입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