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산림처사(山林處士)[자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벼슬을 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산골에 파묻혀 글이나 읽고 지내는 선비.
산림처사(山林處士)[소상팔경가 6 페이지 / 전적]
벼슬을 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산골에 파묻혀 글이나 읽고 지내는 선비.
산림처사(山林處士)[자치가 7 페이지 / 전적]
벼슬을 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산골에 파묻혀 글이나 읽고 지내는 선비.
산림처사(山林處士)[용담가라 4 페이지 / 전적]
산림에 숨어서 도를 닦는 선비.
산망(散亡)[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5 페이지 / 전적]
흩어져 없어짐. 흩어져 도망함.
산명(山名)[거사가 2 페이지 / 전적]
산의 이름. 또는 유명한 산의 이름.
산명(算命)[대동가(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운수를 점침.
산명수려(山明水麗)[ 1 페이지 / ]
산수의 경치가 아름다움.
산명수려(山明水麗)[자경별곡(自警別曲) 4 페이지 / 전적]
산수의 경치가 아름다움.
산명수처 군읍이에 가선공의 유안이라[자탄가 자탄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10세조 박신의 산소 자리를 말하는 듯.
산모롱이[사친가2(思親歌(二)) 13 페이지 / 전적]
산모퉁이의 빙 둘린 곳.
산문(山門)[슈절자탄가 15 페이지 / 전적]
절 또는 절의 바깥문.
산문(山門)[슈절자탄가 15 페이지 / 전적]
절 또는 절의 바깥문.
산문(山門)[가야희인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① 산의 어귀. ② 절 또는 절의 바깥문.
산바시[노졍긔 36 페이지 / 전적]
선창, 부두를 가리키는 일본어. さん-ばし[桟橋].
산바시[노졍긔 36 페이지 / 전적]
선창, 부두를 가리키는 일본어. さん-ばし[桟橋].
산방사(山房寺)[제주여행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 산방산 입구에 있는 사찰.
산보散步[ 1 페이지 / ]
바람을 쐬기 위해 이리 저리 거닐음
산붕(山崩)[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9 페이지 / 전적]
山頹와 같은 말인데 哲人의 死亡에 쓰는 말임. 禮記 檀弓에 「泰山其頹 吾將安倣」이란 대문이
산비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8 페이지 / 전적]
「山椒」―山頂을 말함.文選 謝莊의 月賦에「菊散芳於山椒」라는 글구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