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산간벽지(山間僻地)[경노의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아주 구석지고 후미진 산골.
산객(山客)[석천집(石川集二-五)2-5 163 페이지 / 전적]
산인(山人). 세상 일을 버리고 산에 은거하는 사람.
산갯골[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산골과 갯골. 산골과 갯골 등 구렁텅이 골짜기.갯골 : 갯고랑의 준말. 바닷물이 드나드는 갯가의 고랑.
산고 곡심(山高谷深)[권왕가 11 페이지 / 전적]
산이 높고 골짜기가 깊음.
산고(産苦)[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0 페이지 / 전적]
산로(産勞) 아이를 낳는 괴로움.
산고(産苦)[연행별곡(연별곡) 20 페이지 / 전적]
산로(産勞) 아이를 낳는 괴로움.
산고곡심(山高谷深)[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산은 높고 골짜기는 깊음.
산고수류(山高水流)[잣치가라(치라) 9 페이지 / 전적]
산은 높고 물은 흘러감.
산고수장(山高水長)[만수가(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산은 높이 솟고 강물은 길게 흐른다는 뜻. 인자(仁者)나 군자(君子)의 덕행이 높고 한없이 오래 전하여 내려오는 것을 비유.
산고수장(山高水長)[만수가(만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산은 높이 솟고 강물은 길게 흐른다는 뜻. 인자(仁者)나 군자(君子)의 덕행이 높고 한없이 오래 전하여 내려오는 것을 비유.
산곡(山谷)[석천집(石川集二-三)2-3 158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시인 황정견(黃庭堅). 산곡(山谷)은 그의 호(號). 소식(蘇軾)의 문하생으로 기이하고 파격적인 시를 썼다. 강서파(江西派)의 원조로 불리운다.
산곡(山谷)[한양가라 45 페이지 / 전적]
산골짜기.
산곡(山谷)[유소가 9 페이지 / 전적]
산골짜기.
산곡(山谷)[합강정가(合江亭歌) 5 페이지 / 전적]
산골짜기.
산곡마다[화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산골짜기마다
산곤륜산(山崑崙之)[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곤륜산이. 중국 전설상의 높은 산으로 중국의 서쪽에 있으며,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부터는 서왕모(西王母)가 살면서 불사(不死)의 물이 흐른다고 믿었음.
산공(山公)[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0 페이지 / 전적]
「山公」-晋人 山簡이 襄陽을 鎭守하면서 習家池에 잘 가서 置酒輒醉하므로 兒童이 노래하기를 『山公出何許 往至高陽池』라 했음.
산과(山果)[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1 페이지 / 전적]
산과실. 산에서 나는 과실.
산근(山根)[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4 페이지 / 전적]
콧마루와 두 눈썹 사이. 골상학에서 쓰는 말.
산근(山根)[구산가(求山歌) 3 페이지 / 전적]
산줄기가 뻗어나기 시작한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