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산금(山禽)[자치가 2 페이지 / 전적]

산새.

산금야수[은삭가 11 페이지 / 전적]

산새와 사람에게 길이 들지 않은 야생의 사나운 짐승.

산금야수[은삭가 11 페이지 / 전적]

산새와 사람에게 길이 들지 않은 야생의 사나운 짐승.

산금야수(山禽野獸)[자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산새와 들짐승.

산깁[ 1 페이지 / ]

생견 生絹. 삶지 않은 명주실로 짠 깁.‘깁‘은 비단의 뜻이다.

산난(産難)[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15 페이지 / 전적]

낳기가 어렵다.

산남(山南)[환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산의 양지, 곧 산의 남쪽 편.

산남(山南)[환행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산의 양지, 곧 산의 남쪽 편.

산남(山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0 페이지 / 전적]

산남도, 고려 시대에 둔 십도(十道)의 하나. 지금의 진주를 중심으로 하는 경상남도의 일부 지역 10주(州) 37현(縣)을 관할하였다.

산대(山帶)[옥셜화답 7 페이지 / 전적]

산이 띠를 두르듯 둘러 쌈.

산동(山東)[옥셜화답 3 페이지 / 전적]

중국 화북지방에 있는 성으로, 황하강의 하류, 태행산(太行山) 동쪽의 황해(?海)와 발해[渤海]의 연안에 있으며, 춘추전국시대 때 제나라와 노나라 등의 영토였음.

산두(山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44 페이지 / 전적]

「山斗」-泰山 北斗의 略稱임. 唐 韓愈에 대한 後人의 賛을 보면『文望若泰山北斗 文勢如風檣陳馬』라 했음

산드러지다[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맵시 있고 경쾌하다.

산들[회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늘한 바람이 가볍고 보드랍게 부는 모양.

산디[관등가(觀燈歌) 3 페이지 / 전적]

산대(山臺)의 변한 말. ‘산대놀음’의 준말.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 가 풍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와 재담을 곁들인 가면극(假面劇). 영등(影燈) : 초롱 속에 회전하는 기구를 장치하고, 종이로 여러 모양을 오려 붙여 바람이나 불기운으로 빙빙 돌게 하여 그 그림 모양이 겉으로 나타나게 하는 등의 한 가지.

산락(散落)[금강산유람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흩어짐.

산란(散亂)[초한가라 23 페이지 / 전적]

어지럽다.

산란(散亂)[몽별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흩어져 어지러움. 불교에서, 번뇌로 인하여 정신이 어지러움을 이름.

산란(散亂)[몽별가라 13 페이지 / 두루마리]

흩어져 어지러움. 불교에서, 번뇌로 인하여 정신이 어지러움을 이름.

산란(散亂)[우미인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수선하고 뒤숭숭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