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향지회(思鄕之懷)[황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고향을 그리워 하는 마음.
사향탄(思鄕嘆)[칠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고향을 그리워하며 나오는 탄식.
사헌부(司憲府)[옥셜화답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 때 삼사의 하나로, 당시의 정치에 관하여 논의하고 관리의 비행을 조사하여 책임을 규탄하며 풍기(風氣)와 풍속을 바로잡고 백성이 억울하게 누명을 쓰는 일이 없나를 살피어 그것을 풀어 주는 등의 일을 맡아보던 관청.
사헌부(司憲府)[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6 페이지 / 전적]
고려, 조선 시대에, 정사(政事)를 논의하고 풍속을 바로잡으며 관리의 비행을 조사하여 그 책임을 규탄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이다. 사헌대를 고친 것으로, 충렬왕 24년(1298)과 공민왕 18년(1369)에 이 이름이 다시 사용되었다.
사현[석천집(石川集二-二)2-2 111 페이지 / 전적]
완도에 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옛날 섬사람 가운데 송징이란 자가 있었는데 무예와 용맹이 남보다 뛰어나, 활을 쏘면 60리 밖까지 나갔다. 활시위가 끊어져 피가 흘렀다 지금까지도 바위에 화살 박혔던 자취가 남아 있는데, 그곳을 사현이라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 <강진현 고적>
사현처(思賢妻)[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3 페이지 / 전적]
집안이 가난할 때 어진 아내를 생각함.
사형(舍兄)[리행소챙가 37 페이지 / 전적]
남과 말할 때 자기의 형을 겸손하게 일컬음, 형이 아우에 대하여 자기를 일컬음.
사형(舍兄)[리행소챙가 71 페이지 / 전적]
남에게 자기 형에 대한 겸칭, 형이 아우에 대해 자기를 일컬음.
사형사제(師兄師弟)[초씨션원쳥음가 4 페이지 / 전적]
한 스승 밑에서 동문수학하여 형제처럼 지냄.
사호(四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1 페이지 / 전적]
「商山皓」―漢高祖는 戚夫人의 所生인 趙王如意를 사랑하여 太子를 易立하려 하다가 太子가 商山西皓와 從遊하는 것을 보고 중지하였는데 實은 이 畵策이 張良으로 부터 나왔으므로 말한것임.
사호(四皓)[민탄가(民歎歌) 15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 고조(高祖) 때 상산(商山)에 숨은 네 노인. 곧 동원공(東園公)·기리계(綺里季)·하황공(夏黃公)·녹리선생(甪里先生). 수염과 눈썹이 모두 희다고 하여 호(皓)라 하였다.
사호(四皓)[어부사(漁父辭) 1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 고조(高祖) 때 상산(商山)에 숨은 네 노인. 곧 동원공(東園公)·기리계(綺里季)·하황공(夏黃公)·녹리선생(甪里先生). 수염과 눈썹이 모두 희다고 하여 호(皓)라 하였다.
사호선생(四皓先生)[거창가라 17 페이지 / 전적]
상산사호(商山四皓).중국 진시황 때에 난리를 피하여 산시 성(陝西省) 상산(商山)에 들어가서 숨은 네 사람.동원공, 기리계, 하황공, 녹리 선생(甪里先生)을 이른다.호(皓)란 본래 희다는 뜻으로, 이들이 모두 눈썹과 수염이 흰 노인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사호02(四皓).
사호선생(四皓先生)[아림가(娥林歌) 18 페이지 / 전적]
상산사호(商山四皓). 중국 진시황 때에 난리를 피하여 산시 성(陝西省) 상산(商山)에 들어가서 숨은 네 사람. 동원공, 기리계, 하황공, 녹리 선생(甪里先生)을 이른다. 호(皓)란 본래 희다는 뜻으로, 이들이 모두 눈썹과 수염이 흰 노인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호02(四皓).
사호선인(四皓仙人)[금강산유람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한(漢)나라 고조(高祖)의 부인 여후(呂后)를 피해 상산(商山)에 은거(隱居)한 네 노인을 가리킴. 즉 동원공(東園公)·하황공(夏黃公)·기리계(綺里季)·각리선생(角里先生) 등 네 노인(老人)을 말하는데, 이들은 상산에서 바둑이나 두고 한일월(閑日月)했다고 전함.
사화(士禍)[한흥가라 59 페이지 / 전적]
당고의 금(黨錮之禁).
사화(士禍)[한흥가라 59 페이지 / 전적]
당고의 금(黨錮之禁).
사화(士禍)[한흥가라 59 페이지 / 전적]
당고의 금(黨錮之禁).
사화(士禍)[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5 페이지 / 전적]
조선(朝鮮) 때 정치적(政治的) 반대파(反對派)에게 몰리어 정계의 선비들이 당(當)한 참혹(慘酷)한 화난(禍難).
사화동[팔역가(八域歌) 35 페이지 / 전적]
진도의 사을화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