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사은 니와[ 1 페이지 / ]

사람은커녕. 사람은 물론이거니와.

삭(朔)[여자탄 1 페이지 / 두루마리]

삭일(朔日). 개월(個月).

삭(朔)[여자탄 1 페이지 / 두루마리]

삭일(朔日). 개월(個月).

삭(朔)[명궁처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수 관형사 뒤에서 의존적 용법으로 쓰여, 달수를 나타내는 말.

삭(朔)에[외손별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개월(個月).

삭계(朔啓)[면앙집(俛仰集 一)1 20 페이지 / 전적]

초하루날 임금에게 올리는 계문(啓文) 가을에 검열(檢閱)이 되었는데 왕께서 대궐 안 승정원(承政院) 홍문관(弘文館) 예문관(藝文館) 시강원(侍講院)에 감귤을 하사(下賜)하시고 겸하여 삼제(三題)를 내려 즉시 예문관(藝文館)으로 지어서 내라고 명하셨다。

삭망(朔望)[명륜가(明倫歌) 32 페이지 / 전적]

초하루와 보름.

삭망(朔望)[오윤가 14 페이지 / 전적]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삭망(朔望)[삼한가라(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삭망(朔望)[효행가(孝行歌) 7 페이지 / 전적]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삭망(朔望)[대효가(大孝歌) 1 페이지 / 전적]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삭망전(朔望奠)[명륜가(明倫歌) 29 페이지 / 전적]

상중(喪中)에 있는 집에서 다달이 초하루와 보름날 아침에 지내는 제사.

삭망회(朔望晦)[해몽가라(몽가라) 16 페이지 / 전적]

음력 초하룻날과 보름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삭발위승(削髮爲僧)[과부가(寡婦歌) 5 페이지 / 전적]

낙발위승(落髮爲僧). 출가하여 머리를 깎고 중이 됨.

삭방(朔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0 페이지 / 전적]

삭방도, 고려 시대에 둔 십도(十道)의 하나. 지금의 강원도 북부 지방 7주(州) 62현(縣)을 관할하였다.

삭백(朔伯)[송강집(松江集三)3 49 페이지 / 전적]

북쪽 땅 방백(方伯)을 이름.

삭삭(數數)[리행소챙가 50 페이지 / 전적]

자주자주.

삭삭(數數)[명궁처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짧은 시간에 여러 번을 반복함.

삭탈관직(削奪官職)[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2 페이지 / 전적]

죄를 지은 자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그 이름을 지우던 일.

삭탈관직(削奪官職)[한양가라 58 페이지 / 전적]

죄를 지은 자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그 이름을 지우던 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