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삭탈관직(削奪官職)[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죄를 지은 사람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이름을 지우는 일을 이르던 말.
삭탈관직(削奪官職)[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죄를 지은 자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그 이름을 지우던 일.
삭탈관직(削奪官職)[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죄를 지은 자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그 이름을 지우던 일.
삭탈관직(削奪官職)[북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죄를 지은 자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그 이름을 지우던 일.
삭탈관직(削奪官職)[초씨션원쳥음가 8 페이지 / 전적]
죄를 지은 자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그 이름을 제함.
삭탈관직(削奪官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9 페이지 / 전적]
죄를 지은 자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그 이름을 지우던 일.
삭평(削平)[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 페이지 / 전적]
반란이나 소요를 누르고 평온하게 진정함.
삭포(朔布)[리행소챙가 60 페이지 / 전적]
임신 초기.
삭풍(朔風)[성산별곡 9 페이지 / 전적]
겨울바람. 북풍
삭풍(朔風)[무제(▩▩▩▩) 8 페이지 / 두루마리]
겨울철에 북쪽에서 불어오는 찬 바람.
삭풍(朔風)[무제(▩▩▩▩) 8 페이지 / 두루마리]
겨울철에 북쪽에서 불어오는 찬 바람.
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93 페이지 / 전적]
「山髨」-髨은 斷髮의 稱임. 그래서 僧을 緇髠이라함.
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21 페이지 / 전적]
「朝陽」-山의 동쪽을 말함. 詩經 大雅 卷阿에 「鳳凰鳴矣于彼高岡 梧桐生矣 于彼朝陽」이라 했고 그 傳에 「山之東 曰朝陽」이라 했음.
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49 페이지 / 전적]
「登山孔」-孟子 盡心上에 「孔子登東山而小魯 登太山而小天下라는 대문이 있음.
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2 페이지 / 전적]
「山並樂」― 論語 雍也篇에 「仁者藥山 知者藥水」라는 대문이있음.
산 꿩 들오리 이제면명(耳提面命) 해몽(解蒙)[ 1 페이지 / ]
산계야목(山鷄野鶩). 성미가 거칠고 제 마음대로만하여 다잡을 수 없는 사람을 비유한 말. 남의 귀를 끌어당겨 알아듣게 직접 가르침, 곧 친절하게 가르침을 형용한 말. 어리석음을 일깨워 주는 것.
산 꿩 들오리 이제면명(耳提面命) 해몽(解蒙)[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0 페이지 / 전적]
산계야목(山鷄野鶩). 성미가 거칠고 제 마음대로만하여 다잡을 수 없는 사람을 비유한 말. 남의 귀를 끌어당겨 알아듣게 직접 가르침, 곧 친절하게 가르침을 형용한 말. 어리석음을 일깨워 주는 것.
산 꿩 들오리, 이제면명(耳提面命), 해몽(解蒙)[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9 페이지 / 전적]
산계야목(山鷄野鶩). 성미가 거칠고 제 마음대로만하여 다잡을 수 없는 사람을 비유한 말, 남의 귀를 끌어당겨 알아듣게 직접 가르침, 곧 친절하게 가르침을 형용한 말, 어리석음을 일깨워 주는 것.
산 꿩이나 들오리 훈몽(訓蒙),[자경별곡 13 페이지 / 전적]
산계야목(山鷄野鶩). 성미가 거칠고 제 마음대로만하여 다잡을 수 없는 사람을 비유한 말. 어린아이나 초학자들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
산각(山角)[유소가 9 페이지 / 전적]
산봉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