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중용(中庸)[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학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

중용(中庸), 자사(子思)[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60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자사(子思)가 지었다는 유교의 경전으로 사서(四書)의 하나, 중국 전국시대에 노(魯)나라의 학자. 공자의 손자로, 저서에 중용(中庸)이 있음.

중용(中庸)에 이른 말은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이요,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요, 수도지위교[권학가 10 페이지 / 전적]

「중용(中庸)」에 나오는 “하늘이 명한 것을 성이라 하고, 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하고, 도를 닦는 것을 교라고 한다(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라는 구절을 끌어 쓴 내용이다.

중용(中庸)에 이른 말은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이요,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요, 수도지위교[도덕가 2 페이지 / 전적]

「중용(中庸)」에 나오는 “하늘이 명한 것을 성이라 하고, 성을 따르는 것을 도라 하고, 도를 닦는 것을 교라고 한다(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라는 구절을 끌어 쓴 내용이다.

중용맹자(中庸孟子)[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유학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중용』은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지은 것으로 중용의 덕과 인간의 본성인 성(性)에 대하여 설명하였음. 『맹자』는 맹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 따위를 기술한 것으로, <양혜왕(梁惠王)>, <공손추(公孫丑)>, <등문공(滕文公)>, <이루(離婁)>, <만장(萬章)>, <고자(告子)>, <진심(盡心)>의 7편으로 분류되어 있음.

중용맹자(中庸孟子)[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유학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중용』은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지은 것으로 중용의 덕과 인간의 본성인 성(性)에 대하여 설명하였음. 『맹자』는 맹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 따위를 기술한 것으로, <양혜왕(梁惠王)>, <공손추(公孫丑)>, <등문공(滕文公)>, <이루(離婁)>, <만장(萬章)>, <고자(告子)>, <진심(盡心)>의 7편으로 분류되어 있음.

중원[팔역가(八域歌) 25 페이지 / 전적]

후한 서기 57년

중원(中元)[기원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도교에서, ‘백중날’을 이르는 말. 도교에서는 천상(天上)의 선관(仙官)이 일 년에 세 번 1월 15일, 7월 15일, 10월 15일에 인간의 선악을 살피는 때를 ‘삼원’이라고 하여 초제(醮祭)를 지내는데, 이 가운데 7월 15일을 이르는 말.

중원(中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31 페이지 / 전적]

「中原」忠北 中原郡을 말함.

중원(中原)[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5 페이지 / 전적]

경쟁하는 곳. 또는 정권을 다투는 무대.

중원(中原)[한양가라 48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

중원(中原)[자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경쟁하는 곳. 정권을 다투는 무대.

중원(中原)[대호지로가(호지로가) 5 페이지 / 전적]

①넓은 들의 가운데 ②중국(中國) 문화(文化)의 발원지인 황허(黃河) 강 중류(中流)의 남북(南北) 양안(兩岸)의 지역(地域) ③(변경(邊境)에 대(對)하여) 천하(天下)의 중앙(中央)을 이르는 말 ④(정권(政權) 따위를) 다투고 겨루는 곳.

중원(中原)[대호지로가(호지로가) 5 페이지 / 전적]

①넓은 들의 가운데 ②중국(中國) 문화(文化)의 발원지인 황허(黃河) 강 중류(中流)의 남북(南北) 양안(兩岸)의 지역(地域) ③(변경(邊境)에 대(對)하여) 천하(天下)의 중앙(中央)을 이르는 말 ④(정권(政權) 따위를) 다투고 겨루는 곳.

중원(中原)[육자박이 7 페이지 / 전적]

①넓은 들의 가운데 ②중국(中國) 문화(文化)의 발원지인 황허(黃河) 강 중류(中流)의 남북(南北) 양안(兩岸)의 지역(地域) ③(변경(邊境)에 대(對)하여) 천하(天下)의 중앙(中央)을 이르는 말 ④(정권(政權) 따위를) 다투고 겨루는 곳.

중원(中原)[대호지로가(호지로가) 5 페이지 / 전적]

①넓은 들의 가운데 ②중국(中國) 문화(文化)의 발원지인 황허(黃河) 강 중류(中流)의 남북(南北) 양안(兩岸)의 지역(地域) ③(변경(邊境)에 대(對)하여) 천하(天下)의 중앙(中央)을 이르는 말 ④(정권(政權) 따위를) 다투고 겨루는 곳.

중원(中原)[육자박이 7 페이지 / 전적]

①넓은 들의 가운데 ②중국(中國) 문화(文化)의 발원지인 황허(黃河) 강 중류(中流)의 남북(南北) 양안(兩岸)의 지역(地域) ③(변경(邊境)에 대(對)하여) 천하(天下)의 중앙(中央)을 이르는 말 ④(정권(政權) 따위를) 다투고 겨루는 곳.

중원(中原)[대호지로가(호지로가) 5 페이지 / 전적]

①넓은 들의 가운데 ②중국(中國) 문화(文化)의 발원지인 황허(黃河) 강 중류(中流)의 남북(南北) 양안(兩岸)의 지역(地域) ③(변경(邊境)에 대(對)하여) 천하(天下)의 중앙(中央)을 이르는 말 ④(정권(政權) 따위를) 다투고 겨루는 곳.

중원(中原)[육자박이 7 페이지 / 전적]

①넓은 들의 가운데 ②중국(中國) 문화(文化)의 발원지인 황허(黃河) 강 중류(中流)의 남북(南北) 양안(兩岸)의 지역(地域) ③(변경(邊境)에 대(對)하여) 천하(天下)의 중앙(中央)을 이르는 말 ④(정권(政權) 따위를) 다투고 겨루는 곳.

중원(中原)[서양예수재자말삼(서양예수자말삼) 3 페이지 / 전적]

①넓은 들의 가운데 ②중국(中國) 문화(文化)의 발원지인 황허(黃河) 강 중류(中流)의 남북(南北) 양안(兩岸)의 지역(地域) ③(변경(邊境)에 대(對)하여) 천하(天下)의 중앙(中央)을 이르는 말 ④(정권(政權) 따위를) 다투고 겨루는 곳.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