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준정[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4 페이지 / 전적]

준정(俊情, 훌륭한 인정)으로 보든지, 아니면 순정(純情)의 잘못된 표기로 보아야 할 것 같다.

준조(尊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1 페이지 / 전적]

「尊爼」-折衝尊爼의 略稱인데 盃酒의 사이에서도 능히 敵을 제지한다는 말임. 晏子春秋雜에 「不出尊爼之間 而近衝千里之外」라 하였음.

준주(樽酒)[동국조선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한 통이 되는 술.

준주(樽酒)[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통술

준준(峻峻)[회혼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준엄하다.

준준(蹲蹲)[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4 페이지 / 전적]

단정히 걷는 모양, 춤추는 모양.

준준무식(蠢蠢無識)[사향곡(향곡) 12 페이지 / 전적]

굼뜨고 어리석어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음.

준준무식(蠢蠢無識)[답사향곡(답향곡) 1 페이지 / 전적]

굼뜨고 어리석어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음.

준준한[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리석고 미련한.

준준한[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어리석고 미련한.

준준한[여행록이라(여녹이라) 26 페이지 / 전적]

어리석고 미련한.

준준한[나부가라(라부가라) 1 페이지 / 전적]

어리석고 미련한.

준철문명(濬哲文明)[황남별곡(黃南別曲) 5 페이지 / 전적]

문명에 밝고 지혜가 있음.

줄 끊어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6 페이지 / 전적]

伯牙는 春秋時의 善琴者인데 鍾子期와 더불어 좋아했다. 鍾子期가 죽자 伯牙는 거문고 줄을 끊어 버리고 다시 타지 아니하였음.

줄〔紼〕[송강집(松江集三)3 14 페이지 / 전적]

상여 메는 줄임

줄글[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한문에서, 구나 글자 수를 맞추지 아니하고 죽 잇따라 지은 글.

줄글[조심가라 26 페이지 / 전적]

한문에서, 구나 글자 수를 맞추지 아니하고 죽 잇따라 지은 글.

줄누비[자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줄을 쳐서 누벼 가지고 뒤에서 솔기마다 풀칠을 하여 줄을 세우는 누비질.

줄도 더도[옥산가라 15 페이지 / 전적]

줄지도 더하지도.

줄무지[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5 페이지 / 전적]

생이나 장난꾼의 행상(行喪). 가까운 친구끼리 풍악을 울리고 춤을 추며 상여를 메고 가는 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