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중노[이화가젼 9 페이지 / 전적]
중로(中路)임. 오가는 길의 중간.
중노[이화가젼 9 페이지 / 전적]
중로(中路)임. 오가는 길의 중간.
중니(仲尼)[송강집(松江集七)7 51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자(字).
중달[석천집(石川集二-五)2-5 65 페이지 / 전적]
사마의(司馬懿)의 자인데 동한(東漢) 시대 말의 삼국시대 군사가요 정치인이다. 조조(曹操)의 막하에서 모사로 활약했던 인물.
중대장(中隊長)[자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대의 최고 지휘관.
중도골격[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1 페이지 / 전적]
보통의 골격.
중도이폐(中道以廢)[신정도덕가 8 페이지 / 전적]
중도에 포기하다.
중동(仲冬)[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8 페이지 / 전적]
겨울의 한창 추운 때. 음력 11월을 이름.
중동(重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5 페이지 / 전적]
「重瞳」―눈안에 동자가 둘이 있다는 말임. 史記項羽전贊에「吾聞之周生曰舜目 蓋重瞳子 又聞項羽 亦重瞳子」라 하였음. 여기는 舜임금을 지칭한 것임.
중려(衆慮)[말이타국원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사람의 염려.
중로(中路)[오륜가라 35 페이지 / 전적]
오가는 길의 중간.
중로(中路)[소상팔경가 21 페이지 / 전적]
가던 중에.
중로(中路)[자치가 23 페이지 / 전적]
가던 중에.
중로(中路)[오륜가라 27 페이지 / 전적]
오가는 길의 중간.
중로(中路)[가사소리 27 페이지 / 전적]
오가는 길의 중간.
중로전별(中路餞別)[운청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길에서 헤어짐.
중록(重祿)[뎡슝샹회방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아주 많고 후한 녹봉(祿俸).
중류(中流)[당산조션가 9 페이지 / 전적]
강이나 내의 중간 부분.
중류(中流)[운청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강 한 가운데.
중류(中霤)[신정도덕가 1 페이지 / 전적]
중심, 가운데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