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중신[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매(仲媒).
중신(衆臣)[자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신하.
중신(重臣)[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13 페이지 / 전적]
중요한 관직에 있는 신하.
중심(中心)[교훈가 8 페이지 / 전적]
마음 속. 심중(心中).
중심(中心)[가사애부가(가부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심중(心中)
중심달혜(中心怛兮)[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5 페이지 / 전적]
마음 속 깊이 안타까워 함.
중심달혜(中心怛兮)[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5 페이지 / 전적]
마음 속 깊이 안타까워 함.
중심의 이저두소[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7 페이지 / 전적]
중심에 잊어두소. 남이 그른 것을 마음에 담아두지 말라는 말.
중악[팔역가(八域歌) 23 페이지 / 전적]
공산
중악(衆嶽)이요[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6 페이지 / 전적]
많은 산. 눈에는 주위에 많은 산봉우리가 보인다는 말.
중애(重愛)[후원초당 봄이듯이 9 페이지 / 두루마리]
소중히 여겨 사랑함.
중양(重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30 페이지 / 전적]
「重陽泛菊」-陶淵明의 故事를 말함. 淵明의 九日詩에 「酒能祛百慮 菊解制頹齡」의 句가 있음 또 飮酒詩에 「秋菊有佳色 浥露掇其英 泛此忘憂物 遠我遺世情」이라 하였음.
중양절(重陽節)[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27 페이지 / 전적]
음력 9월 9일로 중구(重九)라고도 함. 중양이란 양수 즉 홀수가 겹쳤다는 뜻으로 3월 3일, 5월 5일, 7월 7일도 중양이 되나 조선시대에는 중구를 명절로 지정하여 여러 행사를 하였음.
중어(中魚)[오륜가라 22 페이지 / 전적]
중간 정도의 물고기.
중언부언(重言復言) 부촉(咐囑)[자책가(가) 20 페이지 / 전적]
이미 한 말을 자꾸 되풀이 하며 부탁하는 것.
중옥(仲玉)[석천집(石川集二-一)2-1 16 페이지 / 전적]
성수침의 字
중용(中庸)[권학가 4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가 지었다는 것으로, 중용의 덕과 인간의 본성인 성(誠)에 대한 설명임. 중국의 유교 경전으로 사서(四書)의 하나임
중용(中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70 페이지 / 전적]
「中庸四子」-즉 戒愼 恐懼 네 글자를 말한 것임.
중용(中庸)[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학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
중용(中庸)[인여가(引轝歌) 5 페이지 / 전적]
유학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