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줄변자(邊子)[동상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자용 마른신의 도리에 장식으로 가늘게 두른 천. 또는 그렇게 만든 신.

줌줌이[만고가라 13 페이지 / 전적]

주먹에 쥘 정도로 적은 양을 말함.

줌줌이[효행록이라(효록이라) 2 페이지 / 전적]

주먹에 쥘 정도로 적은 양을 말함.

[몽경시화가(夢警時和歌) 4 페이지 / 전적]

스님.

[환무자탄가 17 페이지 / 전적]

스님.

[팔역가(八域歌) 11 페이지 / 전적]

을지문덕과 관련이 있는 7 스님의 고사, 수나라 군사들이 속아 강을 건너다가 모두 물에 빠져 죽었다는 고사가 있음

중(重)한 천륜(天倫)[자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와 자식 간에 하늘의 인연으로 정하여져 있는 중요한 혈연 관계.

중(重)한 천륜(天倫)[자탄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부모와 자식 간에 하늘의 인연으로 정하여져 있는 중요한 혈연 관계.

중가(重價)[시절가 6 페이지 / 전적]

중값(비싼 값).

중견(重譴)[신도가(臣道歌) 8 페이지 / 전적]

중한 책망(責望), 또는 비난(非難).

중경(中經)[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34 페이지 / 전적]

경서(經書)를 그 분량(分量)에 따라 대(大)ㆍ중(中)ㆍ소(小)로 나눈 중간(中間)의 것.곧 『시경(詩經)』ㆍ의례(儀禮)ㆍ『주례(周禮)』를 이름.

중경(中經)[연행별곡(연별곡) 24 페이지 / 전적]

경서(經書)를 그 분량(分量)에 따라 대(大)ㆍ중(中)ㆍ소(小)로 나눈 중간(中間)의 것.곧 『시경(詩經)』ㆍ의례(儀禮)ㆍ『주례(周禮)』를 이름.

중과부적(衆寡不敵)[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3 페이지 / 전적]

적은 수효로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함.

중관[팔역가(八域歌) 16 페이지 / 전적]

역사를 감독할 중앙의 관리

중구(中冓)[기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집의 깊숙한 곳에 있어 남이 볼 수 없는 곳. 부부가 거처하는 방을 이름.

중구(重九)[사친가1(思親歌(一)) 9 페이지 / 전적]

중양(重陽). 엣 명절의 의 하나인 음력 9월 9일.

중구(重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3 페이지 / 전적]

「九日茱茰」―王維의 九日憶山東兄弟詩에 「獨在異鄕爲異客 每逢佳節倍思親 遙知兄弟登高處 徧挿茱茰少一人」이라 하였음.

중구(重九)[여자석별가 3 페이지 / 전적]

음력 9월 9일.

중구일(重九日)[타령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重陽節. 음력 9월 9일. 명절

중군(中軍)[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8 페이지 / 전적]

각 군영(軍營)에서 대장이나 절도사, 통제사 등의 밑에서 군대를 통할하던 장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