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자정(慈情)[축원하온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머니의 정.

자정(慈情)[답긔슈가 4 페이지 / 전적]

어머니의 정, 곧 부모의 정.

자제[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8 페이지 / 전적]

「范巨卿」―東漢 范式의 字는 巨卿이요 金鄕人인데 太學에 노닐면서 張劭와 더불어 벗을 맺었다. 모두 歸鄕하게 되자 式는 약속하되「二年後에는 찾아가 尊親을 뵈옵겠다」하므로 함께 마침내 期日을 정했었다. 그날을 당하여 劭는 殺雞炊黍하고 기다린 바 式은 과연 당도했다.

자제(子弟)[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3 페이지 / 전적]

①남의 아들의 높임말 ②남의 집안의 젊은 사람을 일컫는 말.

자제(子弟)[지효가(知孝歌) 1 페이지 / 전적]

①남의 아들의 높임말 ②남의 집안의 젊은 사람을 일컫는 말.

자제(子弟) 보고[안심가 11 페이지 / 전적]

다른 이본에는 ‘자세(仔細) 보고’로 되어 있다.

자조건코[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주 권하고.

자조씨려[소동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자주쓸어. 자주 청소를 하여.

자조정공경이하(自朝廷公卿以下)[안심가 3 페이지 / 전적]

조정의 공경부터 그 아래로.

자족(自足)[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스스로 넉넉함을 느낌.

자족(自足)[대비훈민가 16 페이지 / 전적]

①스스로 넉넉함을 느낌 ②다른 곳으로부터 구(求)함이 없이 자기(自己)가 가진 것으로써 충분(充分)함.

자좌 오향(子坐午向)[거사가 5 페이지 / 전적]

자방(子方)을 등지고 오방(午方)을 바라보는 좌향(坐向).

자좌오(子坐午)[명산록(名山錄) 83 페이지 / 전적]

묏자리를 정할 때 북쪽을 등지고 남쪽을 향하라는 방위.

자좌오(子坐午)[구산가(求山歌) 2 페이지 / 전적]

묏자리를 정할 때 북쪽을 등지고 남쪽을 향하라는 방위.

자좌오(子坐午)[구산가(求山歌) 6 페이지 / 전적]

묏자리를 정할 때 북쪽을 등지고 남쪽을 향하라는 방위.

자좌오향[은삭가 3 페이지 / 전적]

자좌오향(子坐午向)은 자(子) 방향을 등지고 앉아 오(午) 방향을 바라봄. 자(子)와 오 (午) 방향은 각각 이십사 방위로서 자는 정북(正北)을 가리키고, 오는 정남(正南)을 가리키니, 자 좌오향은 남향(南向)을 말함.

자좌오향[은삭가 3 페이지 / 전적]

자좌오향(子坐午向)은 자(子) 방향을 등지고 앉아 오(午) 방향을 바라봄. 자(子)와 오 (午) 방향은 각각 이십사 방위로서 자는 정북(正北)을 가리키고, 오는 정남(正南)을 가리키니, 자 좌오향은 남향(南向)을 말함.

자좌오향(子坐午向)[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18 페이지 / 전적]

자(子) 방향을 등지고 앉아 오(午) 방향을 바라봄.

자좌오향(子坐午向)[그리져리구경하고 36 페이지 / 전적]

정북인 자의 위치(坐)에서 정남인 오를 대(向)하는 좌향. 좌향의 가장 대표적인 경우이다.

자좌오향(子坐午向)[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2 페이지 / 두루마리]

묏자리나 집터 따위의 좋은 자리. 정북(正北) 방향을 등지고 정남향으로 앉은 자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