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자액인(自縊人)[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15 페이지 / 전적]

스스로 목을 매 자살한 사람.

자야(子夜)밤[장씨부인역사라 12 페이지 / 전적]

자시(子時) 무렵의 한밤중.

자야(子夜)밤[장씨부인역사라 12 페이지 / 전적]

자시(子時) 무렵의 한밤중.

자야반(子夜半)[벽천가 19 페이지 / 전적]

자시(子時) 무렵의 한밤중.

자약(自若)[녁대가(녁가) 38 페이지 / 전적]

큰일을 당해서도 놀라지 아니하고 보통 때처럼 침착함.

자약손(子若孫)[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아들과 손자.

자약손(子若孫)[헌수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아들과 손자.

자양(字養)[별교사(별교) 6 페이지 / 두루마리]

아이를 잘 자라도록 기르고 보살핌.

자양(慈養)[벌교사(벌교) 12 페이지 / 전적]

자애로써 양육함.

자양(紫陽)[송강집(松江集三)3 35 페이지 / 전적]

주희(朱熹)의 부친 주송(朱松)이 글을 읽던 곳인데 주희가 그 곳의 서재(書齋) 이름을 자양서당(紫陽書堂)이라 한 뒤로는 인하여 주자를 자양이라고 칭함

자양부자(紫陽夫子)[옥산가라 48 페이지 / 전적]

주자(朱子). 자양은 송나라 주희(朱熹)의 별호.

자양부자(紫陽夫子)[황남별곡(黃南別曲) 7 페이지 / 전적]

주희(朱熹)의 부(父) 주송(朱松)을 가리킴.자양은 주희의 아버지가 독서를 하던 산.

자양품(滋養品)[뎡슝샹회방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자양분이 많은 식품. 즉 좋은 음식.

자언거수(自言居水) 승거산(勝居山)을[죽엽가(쥭엽가) 12 페이지 / 전적]

스스로 말하기를 물가에 사는 것이 산에 사는 것보다 낫네.

자언거수(自言居水) 승거산(勝居山)을[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2 페이지 / 전적]

스스로 말하기를 물가에 사는 것이 산에 사는 것보다 낫네.

자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29 페이지 / 전적]

「合自然」― 李白의 獨酌詩에 「三盃通大道 一斗合自然」이란 句가 있음

자연(紫烟)[석천집(石川集二-五)2-5 166 페이지 / 전적]

자색의 연기, 또는 안개. 산에서 나는 수증기가 햇빛에 비춰 자주빛으로 보이는 모양.

자연(自然)[몽즁운동가 3 페이지 / 전적]

스스로 그렇게 됨.

자연기연(自然其然)[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5 페이지 / 전적]

자연히 그렇다.

자연실(自然實)은[경세가(警世歌) 3 페이지 / 전적]

자연스레 열매를 맺는 것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