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자좌오향(子坐午向)[한양가라 6 페이지 / 전적]

자방(子方)을 등지고 오방(午方)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곧 정북 방향을 등지고 정남향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자좌오향(子坐午向)[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6 페이지 / 전적]

방(子方)에서 (오방)午方으로, 즉 북에서 남으로 향해 앉은 자리.

자좌오향(子坐午向)[운청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묏자리나 집터 등이 자방(子方)을 등지고 오방(午方)을 바라보는 방향.정북(正北) 방향을 등지고 정남향을 바라보는 방향.

자좌오향(子坐午向)[차운 19 페이지 / 전적]

자(子) 방향을 등지고 앉아 오(午) 방향을 바라봄. 자(子)와 오(午) 방향은 각각 24방위로서 자(子)는 정북(正北)을 가리키고 오(午)는 정남(正南)을 가리키니, 자좌오향(子坐午向)은 남향(南向)을 말함.

자좌오향(子坐午向) 당문(堂門)이라[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68 페이지 / 전적]

자좌오향(子坐午向)에 물이 오방(午方)으로 나감.

자중(自重)[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8 페이지 / 전적]

행실을 삼가고 품위를 지켜 자기를 소중히 함.

자중(自重)[오륜가라 42 페이지 / 전적]

① 말이나 행동, 몸가짐 따위를 신중하게 함. ② 자기를 소중히 함.

자중(自重)[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1 페이지 / 전적]

① 말이나 행동, 몸가짐 따위를 신중하게 함. ② 자기를 소중히 함.

자중(自重)[합강정가(合江亭歌) 5 페이지 / 전적]

① 말이나 행동, 몸가짐 따위를 신중하게 함. ② 자기를 소중히 함.

자중(自重)[자직가(子職歌) 5 페이지 / 전적]

말과 행동을 조심하여 몸을 무겁게 가짐.

자중(自重)[경명가(敬命歌) 1 페이지 / 전적]

말과 행동을 조심하여 몸을 무겁게 가짐.

자중지란(自中之亂)[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6 페이지 / 전적]

같은 편끼리 하는 싸움.

자지(紫芝) 보라 송화색(松花色)[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0 페이지 / 전적]

자주색과 보라색. 소나무의 꽃가루와 같은 엷은 노란색.

자지(自知)[오륜가라 4 페이지 / 전적]

자기(自己)의 역량(力量)을 자기(自己)가 앎.

자지가(紫芝歌)[석천집(石川集二-四)2-4 68 페이지 / 전적]

古代 中國의 商山四皓가 지어 불렀다는 노래 이름.

자직(子職)[사친가(事親歌) 36 페이지 / 전적]

자식의 직분.

자직(子職)[자직가(子職歌) 1 페이지 / 전적]

자식의 직분.

자직지도(子職之道)[자직가(子職歌) 5 페이지 / 전적]

자식된 직분으로 부모를 섬기는 도리.

자직지도(子職之道)[경명가(敬命歌) 1 페이지 / 전적]

자식된 직분으로 부모를 섬기는 도리.

자진(子眞)[송강집(松江集二)2 37 페이지 / 전적]

정자진(鄭子眞)의 이름은 박(樸)인데 한(漢)나라 포중(褒中) 사람으로 곡 구(谷口)에 집을 두고 은거 수도하였음. 그래서 후세에 정씨(鄭氏)에 대한 전 용어로 되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