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자책(自責)[자책가(가) 2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자기를 책망하는 것.
자책(自責)[자책가(가) 11 페이지 / 전적]
자송(自訟). 스스로 자기를 책망하는 것.
자천(子賤)[석천집(石川集二-三)2-3 132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때에 노(魯) 나라 사람으로 공자의 제자인 복불제(宓不齊). 자천은 그의 자(字). 성품이 인자하고 재주가 있었다. 일찌기 선보재(單父宰)가 되었을 때에 거문고를 켜서 민심을 교화시키며, 당(堂)을 내려가지 않고도 선보 고을을 잘 다스렸다.
자천(自擅)[거취가(去取歌) 3 페이지 / 전적]
자기 하고 싶은 대로 함.
자천자(自天子) 서인(庶人)[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4 페이지 / 전적]
천자에서 서인까지.
자천자달호서인(自天子達乎庶人)[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3 페이지 / 전적]
천자로부터 서인(庶人)에까지 공통됨.
자천자달호서인(自天子達乎庶人)[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13 페이지 / 전적]
천자로부터 서인(庶人)에까지 공통됨.
자천자서인(自天子庶人)[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8 페이지 / 전적]
천자에서 서민까지.
자청(自請)[경영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에 나서기를 스스로 청함.
자최(齊衰)[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3 페이지 / 전적]
거친 생마포로 아랫단을 접어서 지은 상복, 곧 자최복(齊衰服). 상례(喪禮)에서 규정한 오복제(五服制) 중의 하나. 본래 어머니 상을 당해서 입는 상복임. 재최(齋衰)와 같은 말.
자추(子推)[ 1 페이지 / ]
진(晉)나라의 충신 개자추(介子推)).
자추(子推)[용산세보(蓉山世寶) 3 페이지 / 전적]
진(晉)나라의 충신 개자추(介子推)).
자축(子丑)[역대삼재가라 2 페이지 / 전적]
천일생수(天日生水)라 子의 시작이고 , 지벽어축(地壁於丑)이라, 인생어인(寅生於人)의 시작.
자축운(子丑運)[경화가(警和歌) 18 페이지 / 전적]
다시 선천의 시대로 돌아옴. ‘천개어자(天開於子)’즉, 하늘이 자(子)에서 열리고, ‘지개어축(地開於丑)’즉, 땅이 축에서 열린다고 하였으니, 하나의 양이 처음으로 땅속에서 꿈틀거리는 ‘일양시생(一陽始生)’하여 열매를 맺는 시기임.
자축운(子丑運)[경화가(警和歌) 18 페이지 / 전적]
다시 선천의 시대로 돌아옴. ‘천개어자(天開於子)’즉, 하늘이 자(子)에서 열리고, ‘지개어축(地開於丑)’즉, 땅이 축에서 열린다고 하였으니, 하나의 양이 처음으로 땅속에서 꿈틀거리는 ‘일양시생(一陽始生)’하여 열매를 맺는 시기임.
자취[김씨효행가 30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것이 남긴 표시나 자리.
자친(慈親)[츅친서라 5 페이지 / 전적]
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자친(慈親)[냥신낙사가(냥신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자친(慈親)[견월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자친(慈親)[냥신낙사가(냥신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