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자태화용(姿態花容)[남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태는 어떤 모습이나 모양. 주로 여성의 고운 맵시나 태도에 대하여 이르며 식물, 건축물, 강, 산 따위를 사람에 비유하여 이르기도 함. 화용은 꽃처럼 아름다운 여자의 얼굴.
자투멱라(自投汨羅)[잣치가라(치라) 14 페이지 / 전적]
멱라수 강에 스스로 뛰어듦.
자폐(滋弊)[경춘곡 5 페이지 / 전적]
폐단이 되풀이 됨.
자폐(滋弊)[경춘곡 5 페이지 / 전적]
폐단이 되풀이 됨.
자포자기(自暴自棄)[삼강오륜가 서 13 페이지 / 전적]
절망 상태에 빠져서, 스스로 자신을 포기하여 돌아보지 않음.
자포자기(自暴自棄)[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1 페이지 / 전적]
절망 상태에 빠져서, 스스로 자신을 포기하여 돌아보지 않음.
자포자기(自暴自棄)[거창가라 27 페이지 / 전적]
절망에 빠져 스스로를 포기하고 돌아보지 않음.
자포자기(自暴自棄)[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2 페이지 / 전적]
절망에 빠져 스스로를 포기하고 돌아보지 않음.
자품(咨稟)[충효가(忠孝歌) 16 페이지 / 전적]
여쭈어 묻다.
자품(諮稟)[지효가(知孝歌) 10 페이지 / 전적]
일을 물어 명을 받음.
자품(諮稟)[효행가(孝行歌) 2 페이지 / 전적]
일을 물어 명을 받음.
자품(資稟)[경노의심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된 바탕과 타고난 성품.
자품(資稟)[경노의심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사람된 바탕과 타고난 성품.
자하(子夏)[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2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의 학자. 공자의 제자로서 위(魏)나라 문후(文侯)의 스승이요, 본명은 복상(卜商).
자하(子夏)[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4 페이지 / 전적]
「子夏哭」- 禮記 檀弓上에「子夏哭其子而喪其明」이란 대문이 있음. 그래서 後人이 喪子를 喪明이라 함.
자하(子夏)[신정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제자 이름.
자하(子夏)[아림가(娥林歌) 36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 시대의 유학자(B.C.507~?B.C.420). 본명은 복상(卜商). 공자의 제자로서 십철(十哲)의 한 사람이다. 위나라 문후(文侯)의 스승으로 시와 예(禮)에 능통하였는데, 특히 예의 객관적 형식을 존중하였다.
자하달상(自下達上)[해몽가라(몽가라) 11 페이지 / 전적]
아래로부터 위에까지 미침.
자하달상(自下達上)[심시천인설(尋時天人說) 4 페이지 / 전적]
일의 영향이 아래로부터 위까지 미침.
자하문(紫霞門)[화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서울 종로구 청운동에 있는 문(門). 북문(北門) 또는 자하문(紫霞門)으로도 불림. 1396년(태조 5) 서울 성곽을 쌓을 때 세운 사소문(四小門)의 하나로 창건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