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자행자지(自行自止)[창덕가2 8 페이지 / 전적]

자기 마음대로 하고 싶으면 하고, 하기 싫으면 아니함.

자행자지(自行自止)[창덕가2 46 페이지 / 전적]

자기(自己) 마음대로 하고 싶으면 하고, 하기 싫으면 아니함.

자행자지(自行自止), 여광여취(如狂如醉)[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2 페이지 / 전적]

자기 마음대로 하였다 말았다 함, 이성을 잃고 미친 듯도 하고 취한 듯도 함.

자행자지(自行自止),여광여취(如狂如醉)[자경별곡 6 페이지 / 전적]

자기 마음대로 하였다 말았다 함. 가사의 원문에서는 “自行自知”라고 하였 으나, 이곳의 ‘知’는 ‘止’의 오기이다.이성을 잃고 미친 듯도 하고 취한 듯도 함.

자허유실(自虚有實)[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10 페이지 / 전적]

빈 것으로부터 열매가 가득 있다.

자허유실(自虚有實)[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2 페이지 / 전적]

빈 것으로부터 열매가 가득 있다.

자헌대부(資憲大夫)[팔도안희가 20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정이품 문무관의 품계이다.

자호(字號)이름[교훈가 1 페이지 / 전적]

작자 최제우의 자와 호와 이름. 이 때 최제우가 자신의 자를 성묵(性黙) 호를 수운(水雲)이라 하고, 이름을 제우(濟愚)로 바꾸었다고 한다.

자호(自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7 페이지 / 전적]

스스로 보호하다.

자황(雌黃)[리행소챙가 53 페이지 / 전적]

시문을 첨삭하거나 변론 및 시비를 가리는 일.

자황(雌黃)[반심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시문을 첨삭하여 다듬는 일이나 변론의 시비를 가리는 일.

자황(雌黃)[반심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시문을 첨삭하여 다듬는 일이나 변론의 시비를 가리는 일을 이르는 말. 고대 중국에서 글의 잘못된 글자를 이 물감으로 지운 데에서 유래하였음.

자획(字劃)[경노의심곡 16 페이지 / 두루마리]

글자를 구성하는 점과 획.

자후(子厚)[석천집(石川集二-四)2-4 48 페이지 / 전적]

中國 唐나라 柳宗元의 字.

자낫치[상사곡이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자네 낯이. 자네 얼굴이.

[오륜가라 28 페이지 / 전적]

‘짝’의 잘못된 표기

작간(作奸)[거창가라 20 페이지 / 전적]

간악한 꾀를 부림.또는 그런 짓.

작간(作奸)[아림가(娥林歌) 20 페이지 / 전적]

간악한 꾀를 부림. 또는 그런 짓.

작고(作故)[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4 페이지 / 전적]

고인이 되었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이다.

작고(作故)[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1 페이지 / 전적]

고인이 되었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을 높여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