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자욕양이(子欲養而)[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식이 부모를 모시고자 하나.

자운(子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19 페이지 / 전적]

「非子雲誰」-朱熹가 楚辭集註를 撰하였으므로 屈原에게는 後世의 楊子雲이라 稱한 것임。

자운(子雲)[석천집(石川集二-一)2-1 34 페이지 / 전적]

揚子雲이니 太玄經을 짓고서 「子雲은 後世의 子雲을 기다린다」고 했다

자웅(雌雄)[고분가 10 페이지 / 전적]

암수.

자웅(雌雄)[고분가 10 페이지 / 전적]

암수.

자웅(雌雄)[용담가라 2 페이지 / 전적]

수컷과 암컷. 靑玉笛은 수컷이고, 黃玉笛은 암컷임.

자월(子月)[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 페이지 / 전적]

월건(月建)의 지지(地支)가 자(子)로 된 달. 즉, 음력 동짓달.

자위(自慰)[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스스로 위로함.

자위(自慰)[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스스로 위로함.

자위신명(自衛身命)[명륜가(明倫歌) 42 페이지 / 전적]

자신의 목숨만 잘 지킴.

자위천군(自爲天君)[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4 페이지 / 전적]

몸소 천군(天君)을 하다.

자위화지능문능필무서(自爲化之能文能筆無書)[막소가(莫笑歌) 17 페이지 / 전적]

스스로 감화하여 글과 글씨에 능하나 책을 펴지 못하다.

자위화지능문능필무서(自爲化之能文能筆無書)[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2 페이지 / 전적]

스스로 감화하여 글과 글씨에 능하나 책을 펴지 못하다.

자유(子游)[신정도덕가 6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제자 이름.

자유(子游)[황남별곡(黃南別曲) 23 페이지 / 전적]

자유(子遊)는 중국 춘추시대 오(吳)나라 사람으로, 공문십철(孔門十哲)에 속하며, 자하(子夏)와 더불어 문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임.

자유(子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74 페이지 / 전적]

「遊夏」-孔子의 弟子 子遊와 子夏를 합칭한 것임.

자의(姿儀)도[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6 페이지 / 전적]

자태와 거동. 몸가짐과 예절.

자의(資義)[팔도안희가 20 페이지 / 전적]

자의대부(資義大夫)로 후궁(後宮)의 딸인 옹주(翁主)에게 장가든 자에게 주던 벼슬이다. 자의대부의 관계를 받은 의빈은 정이품 봉헌대부(奉憲大夫)까지 오를 수 있으며, 관직상으로는 위(尉)가 된다.

자의셩주[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1 페이지 / 전적]

자의성주(慈意聖主)

자이 되니[종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한 자[尺]쯤 되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