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자작지얼(自作之蘖)[창덕가2 18 페이지 / 전적]
자기가 저지른 일로 말미암아 생긴 재앙(災殃).
자작지얼(自作之蘖)[창덕가2 19 페이지 / 전적]
자기가 저지른 일로 말미암아 생긴 재앙(災殃).
자잘구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6 페이지 / 전적]
「屑屑」―瑣碎, 勤勞의 뜻임.左傳 昭公五年 「而屑屑焉習儀以亟」이 있음
자잘구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48 페이지 / 전적]
「三良」― 詩經 秦風 黃鳥章의 小序에 「秦穆公이 卒하자 子車氏의 세 아들 奄息, 仲行, 鍼虎로써 殉을 하니 나라 사람이 슬퍼하여 그를 위해 黃鳥를 賦했다」했는데 淵明도 三良을 읊어「良人不可贖 泫然淚添衣」라 하였음.
자장[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6 페이지 / 전적]
「子長」―晋陽子의 字인 듯하나 姓名은 傳하지 아니하여 未詳함.
자장(子張)[퇴계선생등루가(退溪先生登樓歌) 2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로서, 중국 춘추시대 진(陳)나라 사람인 전손사(顓孫師)의 자.
자장(子臧)[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5 페이지 / 전적]
「子臧鷸」 ― 鷸은 鷸冠을 말함. 左傳 僖公二十四年 「鄭子華之弟子臧出奔宋好聚鷸冠」이라 했고, 註에 「麏은 鳥名인데 鷸羽를모와 冠을 만든 것인데 非法의 服이다」하였음.
자장(子長)[남여동락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사마천(司馬遷), 사마자장(司馬子長). 서한(西漢) 때의 사가(史家). 자는 자장(子長). 무제(武帝) 때 태사령(太史令)이 됨. 사기(史記) 백삼십권(百三十卷)을 지었음.
자장(子長)[남여동락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사마천(司馬遷), 사마자장(司馬子長). 서한(西漢) 때의 사가(史家). 자는 자장(子長). 무제(武帝) 때 태사령(太史令)이 됨. 사기(史記) 백삼십권(百三十卷)을 지었음.
자재(自在)[권왕가 3 페이지 / 전적]
저절로 있는 것. 속박이나 장애가 없이 마음대로인 것.
자재(自在)히[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속박이나 장애가 없이 마음대로.
자재연원(自在淵源)[흥비가 6 페이지 / 전적]
스스로 도를 전하는 연원이 있음.
자재연원(自在淵源)[창덕가2 78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연원이 있음.스승에게서 이어진다 해도 그 근원은 통해져 있는 것.
자재연원(自在淵源)[창덕가2 79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연원이 있음.스승에게서 이어진다 해도 그 근원은 통해져 있는 것.
자재연원(自在淵源)[흥비가 7 페이지 / 전적]
도의 처음 시작되는 근원이 자신 안에 있음.
자재천궁(自在天宮)[권왕가 54 페이지 / 전적]
자재천(自在天)의 궁전. 자재천(自在天) : 대자재(大自在). 대자재천(大自在天)의 준말. 대천세계(大千世界)의 주(主)로서 큰 위덕을 가졌음.
자쟁모양(子噌貌樣)[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4 페이지 / 전적]
자식들이 일에 대해 말이 많음.
자쟁모양(子噌貌樣)[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4 페이지 / 전적]
자식들이 일에 대해 말이 많음.
자전(自專)[자직가(子職歌) 5 페이지 / 전적]
자기 마음대로 결정하여 처리함.
자전(自專)[경명가(敬命歌) 1 페이지 / 전적]
자기 마음대로 결정하여 처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