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자시(子時)[조심가라 6 페이지 / 전적]

십이시(十二時)의 첫째 시. 밤 11시부터 오전 1시까지.

자시(資始)[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38 페이지 / 전적]

「資始」―易 乾의 彖에「大哉乾元 萬物資始 乃統天」이라 하였음.

자시궐후(自是厥後)[황남별곡(黃南別曲) 7 페이지 / 전적]

그로부터, 이 후.

자시다가[경게가라 18 페이지 / 전적]

드시다가.

자시다가[경게가라 18 페이지 / 전적]

드시다가.

자시보니[자탄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자세히 보니.

자시알리[자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자세히 알게 되리.

자시알아[경게가라 8 페이지 / 전적]

자세히 알아.

자시알아[경게가라 8 페이지 / 전적]

자세히 알아.

자시지벽(自是之癖)[도슈샤 7 페이지 / 전적]

자기 의견만 옳다고 여기는 버릇.

자시지벽(自是之癖)[창덕가2 8 페이지 / 전적]

제 뜻이 항상(恒常) 옳은 줄로만 믿는 버릇이라는 뜻으로, 편벽(偏僻)된 소견(所見)을 고집(固執)하는 버릇을 이르는 말.

자시지벽(自是之癖)[창덕가2 8 페이지 / 전적]

제 뜻이 항상(恒常) 옳은 줄로만 믿는 버릇이라는 뜻으로, 편벽(偏僻)된 소견(所見)을 고집(固執)하는 버릇을 이르는 말.

자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4 페이지 / 전적]

「埋子生金」- 郭巨는 晋 隆慮人인데 早年에 喪父하자 二千萬의家財를 두 아우에게 각기 千萬씩 나누어 주고 자신은 홀로 母親을 모시며 夫婦가 傭賃하여 奉養했다.妻가 産男하자 郭巨는 老母가 먹을 것을 얻으면 어린 손자에게 나눠주기를 좋아

자식 밴 고운 첩 태자를 속여서 준다[녁대가(녁가) 39 페이지 / 전적]

여불위는 조희(趙姬)라는 애첩을 자초에게 바쳐 아내로 삼게 하였는데, 일설에 따르면 이미 조희는 여불위의 아들을 임신하고 있었다고 함. 이 조희의 아들이 훗날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秦始皇)이 됨.

자식(子息)이 사친(事親)하는데 계명(鷄鳴)하면 기(起)하여[사친가(事親歌) 30 페이지 / 전적]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데 첫 닭이 울면 일어나.

자식의 같은 항렬[삼강오륜가 서 4 페이지 / 전적]

자지동렬(子之同列).

자식이별(子息離別)[추월감 5 페이지 / 두루마리]

자식을 먼저 떠나보냄.

자신지책(資身之策)[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자기 한 몸의 생활을 꾀하는 계책.

자심(慈心)[권왕가 14 페이지 / 전적]

자비심(慈悲心). 중생을 사랑하고 가엽게 여기는 마음.

자심(滋甚)[사도곡(思悼曲) 3 페이지 / 전적]

더욱 심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