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자성전하(慈聖殿下)[거창가 4 페이지 / 전적]
헌종의 모후(母后).
자성전하(慈聖殿下)[거창가 4 페이지 / 전적]
헌종의 모후(母后).
자성전하(慈聖殿下)[거창가라 11 페이지 / 전적]
익종의 비, 헌종의 모후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 1819년 세자빈에 책봉되고, 1834년 아들 헌종이 즉위하자 왕대비가 되었으며, 1857년 대왕대비로 진봉되었다.
자성전하(慈聖殿下)[아림가(娥林歌) 11 페이지 / 전적]
익종의 비, 헌종의 모후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 1819년 세자빈에 책봉되고, 1834년 아들 헌종이 즉위하자 왕대비가 되었으며, 1857년 대왕대비로 진봉되었다.
자세(仔細)[근농가(勤農歌) 3 페이지 / 전적]
사소한 부분까지 아주 구체적이고 분명함.
자세(仔細)[경화가(警和歌) 3 페이지 / 전적]
속속들이 구체적으로 분명함.
자세(仔細)[경화가(警和歌) 3 페이지 / 전적]
속속들이 구체적으로 분명함.
자세(藉勢)[명륜가(明倫歌) 95 페이지 / 전적]
어떤 권력이나 세력 또는 특수한 조건을 믿고 세도를 부림.
자세(藉勢)[송구영신가권지일(送舊迎新歌卷之一) 15 페이지 / 전적]
자세하다. 잘난 체하다.
자세(藉勢)[경화가(警和歌) 38 페이지 / 전적]
자기의 세력이나 남의 세력을 믿고 의지함.
자세(藉勢)[경화가(警和歌) 38 페이지 / 전적]
자기의 세력이나 남의 세력을 믿고 의지함.
자세자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6 페이지 / 전적]
「切切偲偲」- 論語 子罕篇에「朋友切切偲偲」라 하였고 註에「切切은 懇到의 뜻이요 偲偲는 詳勉의 뜻이다」라 하였음.
자셔이[몽유가(몽류가) 35 페이지 / 전적]
자세히.
자셔이[몽유가(몽류가) 35 페이지 / 전적]
자세히.
자소가(自疏歌)[회조가 20 페이지 / 전적]
스스로 해명하는 노래.
자소가(自疏歌)[자소가(소가) 2 페이지 / 전적]
스스로 해명하는 노래.
자소시(自少時)[교훈가 7 페이지 / 전적]
젊었을 때부터.
자손(子孫)피살(被殺) 타인수(他人手)[평지행룡(平地行龍) 1 페이지 / 전적]
자손이 다른 사람의 손에 죽음.
자손(子孫)피살(被殺) 타인수(他人手)[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 페이지 / 전적]
자손이 다른 사람의 손에 죽음.
자손계책(子孫計策)[팔도안희가 14 페이지 / 전적]
자손의 계책이라는 뜻으로 “금을 쌓아 물려줘도 자손이 반드시 능히 다 지킬 수 있는 것은 아니오[積金以遺子孫 未必子孫能盡守]. 책을 쌓아서 자손에게 물려줘도 반드시 자손이 능히 다 읽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니[積書以遺子孫 未必子孫能盡讀], 남모르는 곳에 음덕을 쌓음으로써[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 자손의 본보기로 삼는 것만 못하느니라[以爲子孫之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