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자부상척(子婦喪慽)[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1 페이지 / 전적]
며느리를 잃고 슬퍼한다는 말.
자분(自分)[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5 페이지 / 전적]
자신의 능력을 스스로 낮춰 생각함.
자분(自分)[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5 페이지 / 전적]
자신의 능력을 스스로 낮춰 생각함.
자비(慈悲)[이회심곡(二回心曲) 5 페이지 / 전적]
남을 깊이 사랑하고 가엾게 여김. 또는 그렇게 여겨서 베푸는 혜택.
자비(慈悲)[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사랑하고 불쌍히 여김.
자비(慈悲)[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사랑하고 불쌍히 여김.
자비(慈悲)[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사랑하고 불쌍히 여김.
자비(慈悲)[셔운가 10 페이지 / 전적]
사랑하고 불쌍히 여김.
자비령[팔역가(八域歌) 16 페이지 / 전적]
황해도 서흥군의 지명
자비왕(慈悲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7 페이지 / 전적]
신라 제20대 왕(?~479). 459년 월성(月城)에 침입한 왜인(倭人)을 격퇴하였고, 474년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였을 때 백제와 나제 동맹을 맺었다.
자빈지책(資身之策)[후원초당 봄이듯이 9 페이지 / 두루마리]
자기 한 몸의 생활을 꾀하는 계책.
자사(子思)[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19 페이지 / 전적]
「柔昏」- 中庸에『人一能之 己百之 人十能之 己千之 果能此道矣 雖愚必明 雖柔必强』이라 하였음.
자사(子思)[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 노나라의 유학자. 공자의 손자로, 이름은 급(伋). 증자의 제자이며 맹자의 스승으로, 성(誠)을 천지와 자연의 법칙으로 삼고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철학을 제창하였음. 저서에 『중용』이 있음.
자사(子思)[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 시대 노나라의 유학자. 공자의 손자로, 이름은 급(伋). 증자의 제자이며 맹자의 스승으로, 성(誠)을 천지와 자연의 법칙으로 삼고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철학을 제창하였음. 저서에 『중용』이 있음.
자사(恣肆)[시절가 14 페이지 / 전적]
제멋대로 하는 면이 있음.
자사(恣肆)[환무자탄가 26 페이지 / 전적]
제멋대로 하는 면이 있음.
자사(紫紗)[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자줏빛의 얇고 가벼운 비단.
자사(紫紗)[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자줏빛의 얇고 가벼운 비단.
자사맹자(子思孟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4 페이지 / 전적]
유학 전승에 힘쓴 자사와 맹자를 가리킴. 자사는 노(魯)나라의 유학자로 공자의 손자이며, 『중용(中庸)
자사맹자(子思孟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3 페이지 / 전적]
유학 전승에 힘쓴 자사와 맹자를 가리킴. 자사는 노(魯)나라의 유학자로 공자의 손자이며, 『중용(中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