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7,401개

자사맹자(子思孟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34 페이지 / 전적]

유학 전승에 힘쓴 자사와 맹자를 가리킴. 자사는 노(魯)나라의 유학자로 공자의 손자이며, 『중용(中庸)

자사맹자(子思孟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43 페이지 / 전적]

유학 전승에 힘쓴 자사와 맹자를 가리킴. 자사는 노(魯)나라의 유학자로 공자의 손자이며, 『중용(中庸)

자사명안(自私明眼)[그리져리구경하고 33 페이지 / 전적]

스스로 사사로이 안목을 깨우쳐 밝힘.

자사명안(自私明眼)[수지장제일 2 페이지 / 전적]

일정한 스승 없이 스스로 혜안을 터득함.

자사자(子思子)[궁장가(宮墻歌) 10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 노(魯)나라의 학자. 공자의 손자이며, 사서의 하나인 『중용(中庸)』의 저자로 전한다. 고향인 노나라에 살면서 증자(曾子)의 학문을 배워 유학 전승에 힘썼다. 일상생활에서 과불급(過不及)이 없는 중용을 지향했다.

자상(仔詳)[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7 페이지 / 전적]

자세(仔細)하고 찬찬함.

자상(仔詳)[연행별곡(연별곡) 17 페이지 / 전적]

자세(仔細)하고 찬찬함.

자상(子床)[백발가(白髮歌) 5 페이지 / 전적]

음식을 차려 놓는 사각형의 큰 상인 교자상(交子床)을 말함.

자상(自相)[죽장가(竹杖歌) 11 페이지 / 전적]

그 사물 자체만이 가지는 성질과 모양. 자신이 직접 경험하여 보고서야 비로소 알며, 다른 사람에게는 알려 줄 수 없다.

자상달하(自上達下)[해몽가라(몽가라) 11 페이지 / 전적]

위로부터 아래까지 미침.

자상범지(自上犯之)[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1 페이지 / 전적]

위로부터 법을 지키지 않음.

자상중하(自上中下)[정기안심가(定基安心歌) 5 페이지 / 전적]

상중하로부터.

자상중하(自上中下)[막소가(莫笑歌) 5 페이지 / 전적]

상중하(上中下)부터.

자상천답(自相踐踏)[명륜가(明倫歌) 8 페이지 / 전적]

자기편끼리 서로 짓밟음.

자상천답(自相踐踏)[명륜가(明倫歌) 92 페이지 / 전적]

스스로들 서로간에 밟고 밟음.

자상할사[신행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세하고 찬찬하다.

자색(姿色)[북쳔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아름다운 얼굴과 모습.

자색(姿色)[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2 페이지 / 전적]

여자의 고운 얼굴이나 모습.

자생(自生)[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자기 자신의 힘으로 스스로 함.

자생(自生)[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5 페이지 / 전적]

자기 자신의 힘으로 스스로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