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알계(訐啓)[송강집(松江集四)4 59 페이지 / 전적]

나타나지 않은 사람의 악(惡)을 적발하여 들추어 내는 계(啓)

알금알금[회초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잘고 얕게 얽은 자국이 듬성듬성 있는 모양.

알들[답사향곡(답향곡) 4 페이지 / 전적]

알뜰하다의 어간.다른 사람을 아끼고 위하는 마음이 참되고 지극함.

알뜰살뜰[회초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일이나 살림을 정성껏 규모 있게 꾸려 가는 모양.

알매치다[신정도덕가 2 페이지 / 전적]

흙을 손으로 반죽하여서 서까래 위에 올리는 것을 말함. 지방사투리.

알매치다[붕우츠회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흙을 손으로 반죽하여서 서까래 위에 올리는 것을 말함.

알매치다[도덕구가 2 페이지 / 전적]

흙을 손으로 반죽하여서 서까래 위에 올리는 것을 말함.

알묘(謁廟)[셔유곡 15 페이지 / 전적]

종묘나 사당에 배알함.

알묘조장(揠苗助長)[경세가(警世歌) 3 페이지 / 전적]

'맹자(孟子)'에 나오는 구절로 곡식을 싹을 잡아당겨 빨리 자라도록 돕는다는 뜻으로,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고 억지로 일을 진행시키는 것을 비유하는 말.

알묘조장(揠苗助長)[원시가(源時歌) 1 페이지 / 전적]

알밀(遏密)[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64 페이지 / 전적]

「遏密」― 君主의 崩御를 말함. 書經 堯典에 「帝乃助落 百姓如喪考妃三載 四海遏密八音」이라 하였고 註에「遏은 絶이요 密은 靜의 뜻이다」하였음.

알봉 섭제격(閼逢攝提格)[송강집(松江集一)1 157 페이지 / 전적]

고갑자(古甲子)에 갑인(甲寅)을 이름. (西紀 一六七四)

알봉섭제격(閼逢攝提格)[송강집(松江集四)4 4 페이지 / 전적]

고갑자(古甲子)의 갑인(甲寅).

알분잇다[앤여가(여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알분(忿)있다. 속에 쌓여 있는 분한(忿恨)이 있다. ‘알’은 가려지지 않은, 또는 숨김없는 진짜의 뜻.

알성(謁聖)[쌍옥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성균관(成均館) 문묘(文廟)의 공자(孔子) 신위(神位)에 참배하는 것. 조선 시대에 임금이 처음으로 알성한 것은 태종 14년(1414)이었음. 임금이 알성할 때에는 성균관(成均館) 유생(儒生)을 대상으로 실시하던 시험이 알성시(謁聖試) 임.

알성(謁聖)[옥설가라 12 페이지 / 전적]

임금이 성균관 문묘의 공자 신위에 참배하던 일.

알성(謁聖)[가사소리 35 페이지 / 전적]

알성시(謁聖試).조선 시대에, 임금이 문묘에 참배한 뒤 실시하던 비정규적인 과거 시험.

알성과(謁聖科)[사친곡 7 페이지 / 전적]

임금이 성균관 문묘의 공자 신위에 참배하고 보이던 과거시험.

알성과(謁聖科)[로인가 11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임금이 문묘에 참배한 뒤 실시하던 비정규적인 과거 시험.

알성과(謁聖科)[자치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시대 임금이 성균관에 직접 내린 과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