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안증사맹(顔曾思孟)[역대삼재가라 6 페이지 / 전적]
안자(顔子) 증자(曾子) 자사(子思) 맹자(孟子). 공자 사상의 후계 계보.
안증자사[상방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의 제자인 안자(顔子), 증자(曾子), 자사(子思)를 이름.
안증자사(顔曾子思)[오륜가라 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인 안회, 증삼, 자사를 일컫는 말.
안증자사(顔曾子思)[오륜가라 3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인 안회, 증삼, 자사를 일컫는 말.
안증제현(顔曾諸賢)[오륜가라 5 페이지 / 전적]
‘안증(顔曾)’은 공자의 제자인 ‘안회(顔回)’와 ‘증자(曾子)’를 가리키며, ‘제현(諸賢)’은 ‘모든 군자’라는 뜻.
안증[역대가라(역가라) 7 페이지 / 전적]
안자(顔子)와 증자(曾子). 안자는 안회(顔回). 춘추 때 노(魯)나라 사람으로 자는 자연(子淵), 이름은 회(回)로 공자 제자이다. 증자는 증삼(曾參). 증점(曾點)의 아들로 자는 자여(子輿)로 공자 제자이다. 효경을 지었고, 그 학문을 자사(子思)에게 전하고, 자사는 맹자에게 전했다.
안지정난(岸芝汀蘭)[금강산유람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언덕에 핀 지초(芝草)와 물가에 핀 난초.
안진경(顔眞卿)[춘몽가(츈몽가) 12 페이지 / 전적]
일을 처리하여 나가는 솜씨와 꾀.
안진경(顔眞卿)[춘몽가(츈몽가) 11 페이지 / 전적]
중국 당(唐)나라의 서예가.왕희지(主羲之)의 전아(典雅)한 서체에 대한 반동이라고도 할 수 있을 만큼 남성적인 박력 속에, 균제미(均齊美)를 충분히 발휘한 글씨로 당대(唐代) 이후의 중국 서도(書道)를 지배함.해서·행서·초서의 각 서체에 모두 능했고 많은 걸작을 남김.
안진일을[앤여가(여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앉은 일을. 앉아서 하는 일.
안찬나니[셕별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안찾나니. 안찾을 것이니.
안창호(安昌浩)[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8 페이지 / 전적]
독립운동가(1878~1938). 호는 도산(島山). 신민회, 청년 학우회, 흥사단을 조직하고, 평양에 대성 학교를 설립하였다. 3ㆍ1 운동 후 상하이(上海) 임시 정부의 내무 총장이 되어 독립운동을 하였다.
안치(安置)[자책가(가) 15 페이지 / 전적]
안전하게 잘 두는 것.
안치(安置)[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8 페이지 / 전적]
유배(流配) 죄인(罪人)을 가두어 둠.
안치다[김씨효행가 25 페이지 / 두루마리]
어려운 일이 앞에 밀리다.
안침(安寢)[모여상사가라(모여사가라) 3 페이지 / 전적]
안면(安眠)과 같은 뜻. 편한 잠.
안탑(雁塔)[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7 페이지 / 전적]
「雁塔」- 塔이름임. 遺址는 中國 陜西省 長安縣南 慈恩寺 안에있는데 唐永徽中에 玄獎法師가 造立한 것이다. 唐나라때 새로뽑힌 進仕는 曲江의 잔치 뒤에 㕍塔에다 題名하는 例가 있었는데 이는 神龍年間에 韋肇가 처음 급제하여 偶然히 이 塔에題名하였든바 後進이 慕效하여 드디어 故事를 이루었다 하였음.
안탑(雁塔)[화전가1 14 페이지 / 전적]
탑의 아칭(雅稱), 서역기(西域記)에 떨어져 죽은 기러기를 묻고 그 위에 탑을 세웠다는 기사에서 나옴. 각기 안탑에 이름을 올릴 호걸들이 되어라.
안탑(雁塔)[화전가2 14 페이지 / 전적]
탑의 아칭(雅稱), 서역기(西域記)에 떨어져 죽은 기러기를 묻고 그 위에 탑을 세웠다는 기사에서 나옴. 각기 안탑에 이름을 올릴 호걸들이 되어라.
안탑(雁塔)에 제명(題名)[팔도안희가 19 페이지 / 전적]
당(唐)나라 때에 진사(進士)에 급제한 사람들이 자은사(慈恩寺) 탑에 이름을 적는 것이 습속(習俗)이 되어 나중에 진사에 급제했다는 사실을 뜻하게 되었다. 또는 높은 벼슬아치를 뜻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