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안자(顔子)[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수제자인 안회(顔回)를 높여 이르는 말.
안자(顔子)[조심가라 10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수제자인 안회(顔回)를 높여 이르는 말.
안자(顔子)[자치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춘추시대 때 안회(顔回)를 높여 이르는 말.
안자(顔子)[여행록이라(여녹이라) 11 페이지 / 전적]
중국 노나라 사람으로 공자의 제자인 안회(顔回).자는 자연(子淵).자를 따서 안연이라고도 부름.학덕이 높고 재질이 뛰어나 공자의 가장 촉망받는 제자였으나, 공자보다 먼저 죽음.빈곤하고 불우하였으나 개의치 않고 성내거나 잘못한 일이 없으므로, 공자 다음가는 성인으로 받들어져 안자(顔子)라고 높여 부르기도 함.
안자(顔子)[자치가 12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인 안회(顔回)를 높이 부르는 말.
안자(顔子)[창덕가2 88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인 안회(顔回)를 높여 이르는 말.
안자(顔子)[녁대가(녁가) 31 페이지 / 전적]
안회(顔回)를 높여 부르는 말. 안회는 중국 춘추시대의 유학자(B.C.521~B.C.490). 자는 연(淵). 공자의 수제자로 학덕이 뛰어났음.
안자(顔子)[창덕가2 89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인 안회(顔回)를 높여 이르는 말.
안자(顔子)의 중용(中庸)[팔도안희가 18 페이지 / 전적]
안자던[자탄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밤잠 못주무시던.
안자물기(顔子勿旗)[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6 페이지 / 전적]
안연(顔淵)이 공자에게 인(仁)을 물어 사물(四勿)에 대한 말을 듣고 이를 굳게 지키겠다고 한 말을 비유한 것. 그 맹세를 깃발에 비유함.
안자물기(顔子勿旗)[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6 페이지 / 전적]
안연(顔淵)이 공자에게 인(仁)을 물어 사물(四勿)에 대한 말을 듣고 이를 굳게 지키겠다고 한 말을 비유한 것. 그 맹세를 깃발에 비유함.
안장(安葬)[자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편안하게 장사 지냄.
안장(安葬)[한양가라 43 페이지 / 전적]
편안하게 장사 지냄.
안장(安葬)[경노의심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격식에 따라 정중하게 묻히다.
안장(鞍裝)[한양가라 12 페이지 / 전적]
말과 나귀의 등에 얹어서 사람이 타기에 편리하도록 만든 도구.
안장(鞍裝)[동상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말, 나귀 따위의 등에 얹어서 사람이 타기에 편리하도록 만든 도구.
안재재(安在哉)[연행별곡(연별곡) 16 페이지 / 전적]
어디에 있는가?
안재홍(安在鴻)[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4 페이지 / 전적]
독립운동가ㆍ정치가(1891 ~1965). 호는 민세(民世). 3ㆍ1 운동 이후 대한 청년 외교단을 조직하여 활약하고, 1923년 ≪시대일보≫를 창간하였다. 광복 후 국민당을 조직하였고, ≪한성일보≫ 사장ㆍ미 군정청 민정 장관ㆍ제2대 국회 의원 등을 지냈다.
안전(案前)[칠여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존귀한 사람이 앉아 있는 자리의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