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12,480개

안태(安台)마을[노졍긔 30 페이지 / 전적]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안태리(安台里).

안태(安台)마을[노졍긔 30 페이지 / 전적]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안태리(安台里).

안택(安宅)[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16 페이지 / 전적]

仁을 말함. 孟子 公孫丑上에 「夫仁天之尊爵也 人之安宅也」라는 대문이 있음.

안택(安宅)[가사소리 7 페이지 / 전적]

안전하고 걱정 없이 편히 살 만한 곳.

안토(安土)[합강정가(合江亭歌) 11 페이지 / 전적]

그 땅에 편안히 삶.

안평대군(安平大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5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의 셋째 아들(1418~1453)로 이름은 용(瑢), 자는 청지(淸之), 호는 비해당(匪懈堂)·매죽헌(梅竹軒)이다. 수양 대군의 세력과 맞서다가 계유정난 때 사사(賜死)되었다. 시문과 글씨에 뛰어났다

안평중(晏平仲)[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7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정치가인 안영(晏嬰), 그의 자는 평중(平仲)이다.

안평중(晏平仲)[자경별곡 17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정치가인 안영(晏嬰), 그의 자는 평중(平仲)이다.

안평중(晏平仲)[ 1 페이지 / ]

중국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정치가인 안영(晏?), 그의 자는 평중(平仲)이다. 이 가사의 본문은??논어(論語)??에서 이르는 ‘子曰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를 인용한 것임.

안평중(晏平仲)[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3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제(齊)나라의 정치가인 안영(晏?), 그의 자는 평중(平仲)이다. 이 가사의 본문은??논어(論語)??에서 이르는 ‘子曰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를 인용한 것임.

안표락顔瓢樂[ 1 페이지 / ]

공자 제자안연顔淵의 덕행. 한 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을 먹고 누추한 시골에 사는 것을, 다른 사람들은 그 근심을 이겨내지 못했지만, 안연이는 그 즐거움을 변치 않았다는[논어]-[옹야]편의 내용.

안하(眼下)[고령가곡여자들등님곡이라(고령가곡여들등님곡이라) 3 페이지 / 전적]

①눈 아래 ②내려다보이는 곳.

안하(眼下)[북쳔가 24 페이지 / 두루마리]

눈 아래라는 뜻으로, 내려다보이는 곳을 이르는 말.

안하무인(眼下無人)[경화가(警和歌) 38 페이지 / 전적]

모든 사람들을 업신여기고 방자함.

안하무인(眼下無人)[무제(▩▩▩▩) 15 페이지 / 두루마리]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안하무인(眼下無人)[경화가(警和歌) 38 페이지 / 전적]

모든 사람들을 업신여기고 방자함.

안하무인(眼下無人)[무제(▩▩▩▩) 15 페이지 / 두루마리]

눈 아래에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방자하고 교만하여 다른 사람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안합(顔闔)[석천집(石川集二-四)2-4 31 페이지 / 전적]

中國 戰國時代 魯나라 사람.

안항(雁行)[리행소챙가 74 페이지 / 전적]

남의 형제를 높여서 이르는 말.

안해[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3 페이지 / 전적]

‘아내’의 옛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