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사직(社稷)[자치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고대 중국에서 새로 나라를 세울 때 천자와 제후가 제사를 지내던 토지의 신(神)과 오곡(五穀)의 신(神).

사직(社稷)[쟝한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나라나 조정(朝廷), 왕조(王朝)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직(社稷)[시절가 7 페이지 / 전적]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사직(社稷)[초씨션원쳥음가 4 페이지 / 전적]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사직(社稷)[지효가(知孝歌) 3 페이지 / 전적]

토지신(土地神)과 곡식신(穀食神)이라는 뜻으로서, 옛날에 임금이 국가의 무사 안녕을 기원하기 위하여 사직단(社稷壇)에서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냈으므로

사직(社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3 페이지 / 전적]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사직(社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6 페이지 / 전적]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사직(社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5 페이지 / 전적]

토지신(土地神)과 곡식신(穀食神)이라는 뜻으로서, 옛날에 임금이 국가(國家)의 무사 안녕(安寧)을 기원(祈願)하기 위(爲)하여 사직단(社稷壇)에서 토지(土地)의 신과 곡식(穀食)의 신에게 제사(祭祀)를 지냈으므로 '사직(社稷)'은 '국가(國家)의 기반(基盤)', 또는 '국가(國家)'라는 뜻으로 변(變)했음.

사직(社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9 페이지 / 전적]

나라나 조정.

사직종묘[은삭가 10 페이지 / 전적]

종묘사직(宗廟社稷). 왕실과 나라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사직종묘[은삭가 10 페이지 / 전적]

종묘사직(宗廟社稷). 왕실과 나라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사진박아[자탄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사진찍어.

사차불피(事此不避)[자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이 일을 피할 수 없음. 또는 사차불피(死且不避)로도 쓰이며 뜻은 죽는 한이 있어도 피할 수가 없음.

사창(紗窓[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 페이지 / 두루마리]

비단으로 바른 창. 연인이 사용하는 방의 창.

사창(紗窓)[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2 페이지 / 전적]

깁으로 바른 창.

사창(紗窓)[초한가라 11 페이지 / 전적]

고운 깁으로 바른 창.

사창(紗窓)[소년애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깁(고운 견직물)으로 바른 창(窓).

사창(紗窓)[소년애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깁(고운 견직물)으로 바른 창(窓).

사창(紗窓)[한흥가라 87 페이지 / 전적]

무엇을 하겠다는 생각을 하다.

사창(紗窓)[한양가라 86 페이지 / 전적]

사붙이나 깁으로 바른 창으로 주로 여성들의 공간을 비유한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