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사지(死地)[셔운가 4 페이지 / 전적]

①자기(自己)가 죽을 곳 ②죽어야 할 장소(場所) ③목숨을 잃을, 죽을 위험(危險)이 큰 장소(場所).

사지(死地)[셔운가 4 페이지 / 전적]

①자기(自己)가 죽을 곳 ②죽어야 할 장소(場所) ③목숨을 잃을, 죽을 위험(危險)이 큰 장소(場所).

사지(死地)[궁월가라 13 페이지 / 전적]

죽을 지경의 매우 위험하고 위태한 곳.

사지(死地)를 무릅쓰고[자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을 것을 각오하고.

사지(死枝)[구산가(求山歌) 3 페이지 / 전적]

물의 흐름이 막힘.

사지백체(四肢百體)[충효가(忠孝歌) 7 페이지 / 전적]

온몸.

사지이속민(司地而屬民)[막소가(莫笑歌) 14 페이지 / 전적]

땅을 맡아 다스리는 것은 백성의 무리이다.

사지이속민(司地而屬民)[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4 페이지 / 전적]

땅을 맡아 백성을 돌보다.

사직(社稷)[팔도안희가 4 페이지 / 전적]

백성의 복을 위해 제사하는 국토의 신(神)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을 말한다. 백성은 땅과 곡식이 없으면 살 수 없으므로 사직은 풍흉과 국가의 운명을 관장한다고 믿어 나라를 창건한 자는 제일 먼저 왕가의 선조를 받드는 종묘(宗廟)와 더불어 사직단(社稷壇)을 지어서 백성을 위하여 사직에게 복을 비는 제사를 지냈다.

사직(社稷)[자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사직(社稷)[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3 페이지 / 전적]

고대 중국에서 새로 나라를 세울 때 천자나 제후가 제사를 지내던 토지신과 곡식신을 말하며,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로 쓰임.

사직(社稷)[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사직(社稷)[한흥가라 13 페이지 / 전적]

국가 또는 조정을 이름.

사직(社稷)[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사직(社稷)[한흥가라 13 페이지 / 전적]

국가 또는 조정을 이름.

사직(社稷)[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사직(社稷)[한흥가라 13 페이지 / 전적]

국가 또는 조정을 이름.

사직(社稷)[한양가라 3 페이지 / 전적]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사직(社稷)[북쳔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나라나 조정(朝廷), 왕조(王朝)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직(社稷)[옥설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나라 또는 조정을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