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사풍세우(斜風細雨)[녹이춘유가라(록이춘유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비껴 부는 바람과 가늘게 내리는 비.

사풍세우(斜風細雨)[녹이춘유가라(록이춘유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비껴 부는 바람과 가늘게 내리는 비.

사필(事畢)[지효가(知孝歌) 10 페이지 / 전적]

일을 마침.

사필(事畢)[효행가(孝行歌) 2 페이지 / 전적]

일을 마침.

사필(史筆)[춘몽가(츈몽가) 10 페이지 / 전적]

사마천(司馬遷)'을 달리 이르는 말.사마천이 태사 벼슬을 한 데서 유래.

사필(史筆)[춘몽가(츈몽가) 10 페이지 / 전적]

사관(史官)이 역사(歷史)를 기록(記錄)하는 필법(筆法).사관(史官)이 곧은 말로 기재(記載)한 필법.

사학(四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나라에서 인재를 기르기 위하여 서울의 네 곳에 세운 교육 기관으로 위치에 따라 중학(中學)·동학(東學)·남학(南學)·서학(西學)이 있었는데, 태종 11년(1411)에 설립하여 운영하다가 고종 31년(1894)에 폐하였다.

사한(史翰)[로인가 15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춘추관과 예문관에 둔 벼슬을 통틀어 이르는 말. 춘추관의 전신인 사관(史館)과 예문관의 전신인 한림원에서 따온 말임.

사할팔방(四喝八棒)[초암가 5 페이지 / 전적]

할(喝)은 임제선사가, 방(棒)은 덕산선사가 수행자를 교화하기 위해서 제시한 일종의 방편으로, ‘사할팔방’은 선승이 수행자를 교화하기 위해 방(棒)과 할(喝)하는 것에도 때와 근기에 따라 여러 가지 방편이 있음을 설명한 것임.

사해(四海)[거사가 3 페이지 / 전적]

사방의 바다. 또는 온 세상.

사해(四海)[동상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사방의 바다. 온 세상.

사해(四海)[옥설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천자(天子) 또는 황제(皇帝)가 제후(諸侯)들을 두고 통치(統治)하는 지역(地域).

사해(四海)[셔운가 8 페이지 / 전적]

①사방(四方)의 바다 ②'사해의 안'이란 뜻에서 온 세상(世上)을 일컬음 ③수미산(須彌山)을 둘러싼 사방(四方)의 바다.사대해(四大海) ④나라에서 봉(封)한 네 곳의 바다.곧 동해(東海)는 양양(襄陽), 남해(南海)는 나주(羅州), 서해(西海)는 풍천(豊川), 북해는 경성(鏡城)에 있음.그곳에 단(壇)을 모으거나 사당(祀堂)을 짓고 중춘(仲春)과 중추(仲秋)에 제사(祭祀)를 지냄.

사해(四海)[셔운가 8 페이지 / 전적]

①사방(四方)의 바다 ②'사해의 안'이란 뜻에서 온 세상(世上)을 일컬음 ③수미산(須彌山)을 둘러싼 사방(四方)의 바다.사대해(四大海) ④나라에서 봉(封)한 네 곳의 바다.곧 동해(東海)는 양양(襄陽), 남해(南海)는 나주(羅州), 서해(西海)는 풍천(豊川), 북해는 경성(鏡城)에 있음.그곳에 단(壇)을 모으거나 사당(祀堂)을 짓고 중춘(仲春)과 중추(仲秋)에 제사(祭祀)를 지냄.

사해(四海)[셔운가 8 페이지 / 전적]

①사방(四方)의 바다 ②'사해의 안'이란 뜻에서 온 세상(世上)을 일컬음 ③수미산(須彌山)을 둘러싼 사방(四方)의 바다.사대해(四大海) ④나라에서 봉(封)한 네 곳의 바다.곧 동해(東海)는 양양(襄陽), 남해(南海)는 나주(羅州), 서해(西海)는 풍천(豊川), 북해는 경성(鏡城)에 있음.그곳에 단(壇)을 모으거나 사당(祀堂)을 짓고 중춘(仲春)과 중추(仲秋)에 제사(祭祀)를 지냄.

사해(四海)[셔운가 8 페이지 / 전적]

①사방(四方)의 바다 ②'사해의 안'이란 뜻에서 온 세상(世上)을 일컬음 ③수미산(須彌山)을 둘러싼 사방(四方)의 바다.사대해(四大海) ④나라에서 봉(封)한 네 곳의 바다.곧 동해(東海)는 양양(襄陽), 남해(南海)는 나주(羅州), 서해(西海)는 풍천(豊川), 북해는 경성(鏡城)에 있음.그곳에 단(壇)을 모으거나 사당(祀堂)을 짓고 중춘(仲春)과 중추(仲秋)에 제사(祭祀)를 지냄.

사해(四海)[막소가(莫笑歌) 7 페이지 / 전적]

사해(四海)의 안이라는 뜻에서 온 세상을 일컫는다.

사해(四海)[춘몽가(츈몽가) 31 페이지 / 전적]

중국 고대에 전국을 나눈 9개의 주.요순시대(堯舜時代)와 하(夏)나라 때에는 기(冀)ㆍ연(兗)ㆍ청(靑)ㆍ서(徐)ㆍ형(荊)ㆍ양(揚)ㆍ예(豫)ㆍ양(梁)ㆍ옹(雍)이며, 은(殷)나라 때에는 기ㆍ예ㆍ옹ㆍ양ㆍ형ㆍ연ㆍ서ㆍ유(幽)ㆍ영(營)이고, 주(周)나라 때에는 양ㆍ형ㆍ예ㆍ청ㆍ연ㆍ옹ㆍ유ㆍ기ㆍ병(幷)임.

사해(四海)[오륜가라 6 페이지 / 전적]

온 세상.

사해(四海)[가사소리 6 페이지 / 전적]

온 세상.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