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척(四戚)[종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주변의 친지.
사천[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5 페이지 / 전적]
부녀자가 살림살이에 쓸 돈에서 절약하여 남몰래 모아두는 것. 개인이 사사로이 가진 돈. 여기서는 사사로이 그것만을 즐긴다는 의도에서 이른 말임.
사천(史遷)[송강집(松江集二)2 213 페이지 / 전적]
司馬遷을 이름.
사천(唆喘)[충효가(忠孝歌) 20 페이지 / 전적]
재채기나 기침이 나옴.
사천(四天)[기원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사철의 하늘. 곧 봄의 창천(蒼天), 여름의 호천(昊天), 가을의 민천(旻天), 겨울의 상천(上天).
사천(祀天)[궁월가라 6 페이지 / 전적]
하늘에 제사를 지냄.
사천(祀天)[안심경찰가 4 페이지 / 전적]
하늘에 제사를 지냄.
사천백(沙川伯)[충효가 5 페이지 / 전적]
남극엽의 선대인 남을진을 이름.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옛 사천현에 은거함. 태조가 그 인품을 높이 사서 사천백(사천현의 수령)으로 봉하자 오히려 수모를 당했다고 통곡하며 감악산 암굴에 들어가 생을 마쳤다고 함. 경기 유생들의 사액을 청하는 상소로 정조 8년(1784)에 정절사(旌節祠)로 사액됨.
사천이속신(司天而屬神)[막소가(莫笑歌) 14 페이지 / 전적]
하늘을 맡아 다스리는 것은 신의 무리이다.
사천이속신(司天而屬神)[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4 페이지 / 전적]
하늘을 맡아 신을 돌보다.
사천하(四天下)[권왕가 3 페이지 / 전적]
사주(四洲). 수미산(須彌山)을 에워싸는 구산팔해(九山八海)의 가장 바 깥쪽에 있는 4개의 대주(大洲).
사첨 斜簷[ 1 페이지 / ]
비스듬히 빗껴보이는 초가 지붕의 처마
사체(事體)[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7 페이지 / 전적]
사리(事理)와 체면(體面)을 아울러 이르는 말. 여기서는 사천(私錢 : 부녀자가 살림살이에 쓸 돈을 절약하여 남몰래 모아 둔 돈)으로 해석가능하나 분명치 않음.
사체(事體)[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사리(事理)와 체면(體面)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체(事體)[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사리(事理)와 체면(體面)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사초(莎草)[오윤가 15 페이지 / 전적]
무덤에 떼를 입혀 잘 다듬는 일.
사촌 시매(四寸媤妹)[사친가2(思親歌(二)) 11 페이지 / 전적]
사촌뻘이 되는 시누이.
사추[석천집(石川集二-五)2-5 90 페이지 / 전적]
윤인서(尹仁恕)의 자.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이니 본관은 파평(坡平) 호는 타괴(打乖
사축(私畜)[명륜가(明倫歌) 89 페이지 / 전적]
‘사적으로 저축하다’는 말로, ‘형제들이 개인적으로 자기 것을 저축함’을 말함.
사치(奢侈)[가야희인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필요 이상의 돈이나 물건을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