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사절(死節)[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0 페이지 / 전적]

절개(節槪)를 위(爲)하여 죽음.

사절(死節)[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절개(節槪)를 위(爲)하여 죽음.

사절(死節)[대명복수가(명복수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절개(節槪)를 위(爲)하여 죽음.

사정(事情)[경영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의 형편이나 까닭을 남에게 말하고 무엇을 간청함.

사정(四正)[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7 페이지 / 전적]

자(子), 오(午), 묘(卯), 유(酉)의 네 방위.

사정(四正)[초당의 봄꿈 3 페이지 / 전적]

음양설에서 말하는 자(子)ㆍ오(午)ㆍ묘(卯)ㆍ유(酉)의 네 방위를 이르는 말.

사정(思情)[백발가(白髮歌) 1 페이지 / 전적]

‘사정(事情)’이 맞는 표현. 일의 형편이나 까닭.

사정(思情)[백발가(白髮歌) 3 페이지 / 전적]

‘사정(事情)’이 맞는 표현. 일의 형편이나 까닭.

사정(私情)[축산별곡 7 페이지 / 전적]

사사로운 정. 혹은 개인적으로 품은 정.

사정(私情)[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3 페이지 / 전적]

사사로운 개인의 정.

사정두고[초한가라 7 페이지 / 전적]

형편을 헤아려 생각하다.

사정사유(四正四維)[경화가(警和歌) 9 페이지 / 전적]

‘사정’은 자(子) ․ 묘(卯) ․ 오(午) ․ 유(酉) 등의 방(方)을 말하고, ‘사유’는 건(乾-서북) ․ 곤(坤-서남) ․ 간(艮-동북) ․ 손(巽-동남)을 말함. 따라서 사정사유는 역의 이치가 됨. 천지변화의 틀을 짠 것으로, 팔방(八方)을 말함.

사정사유(四正四維)[경화가(警和歌) 9 페이지 / 전적]

‘사정’은 자(子) ․ 묘(卯) ․ 오(午) ․ 유(酉) 등의 방(方)을 말하고, ‘사유’는 건(乾-서북) ․ 곤(坤-서남) ․ 간(艮-동북) ․ 손(巽-동남)을 말함. 따라서 사정사유는 역의 이치가 됨. 천지변화의 틀을 짠 것으로, 팔방(八方)을 말함.

사정사유(四正四維)[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20 페이지 / 전적]

사정(四正)은 子午卯西方, 사유(四維)는 寅申已亥方.

사정없는[환무자탄가 20 페이지 / 전적]

인정사정없는.

사정위(四正位)[해몽가라(몽가라) 7 페이지 / 전적]

동서남북의 정위치.

사정전(思政殿)[셔유곡 19 페이지 / 전적]

경복궁(景福宮) 안에 있는 편전(便殿)으로서 근정전(勤政殿)의 북쪽에 위치하였음. 사정전은 임금이 문신들과 함께 경전을 강론하고 종친•대신들과 주연(酒宴)을 베풀던 곳이며, 임금이 친림(親臨)하여 문•무과(文武科)를 보이던 곳임. 사정전이란 명칭은 경복궁 축조 후 각 전(殿)과 문(門)의 이름을 지을 때 정도전(鄭道傳)이 붙임.

사정전(思政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5 페이지 / 전적]

경복궁 안에 있는 곳으로 임금이 평상시에 거처하는 궁전이다.

사제(思齊)[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5 페이지 / 전적]

「思齊」―齊等하기를 생각한다는 뜻임. 論語 里仁篇에「見賢思齊焉見不賢而內自省也」라 하였음.

사제(麝臍)[ 1 페이지 / ]

사향노루의 배꼽이란 뜻인데 사향노루는 배꼽 부분에서 가장 향내가 진하게 난다고 한다. 여기서는 연꽃의 꽃대를 두고 한 말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