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운구성(四韻俱成)[화전가2 13 페이지 / 전적]
네 개의 운(韻)을 모두 완성해놓다.
사월(四月)이라 팔일(八日)[과부가(寡婦歌) 3 페이지 / 전적]
초파일, 즉 파일을 가리킴. 초파일 : 파일. 욕불일(浴佛日). 석가(釋迦)가 탄생한 음력 4월 8일을 이르는 말.
사월남풍(四月南風)[근농가(勤農歌) 4 페이지 / 전적]
음력 4월에 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 곧 여름바람.
사위(四圍)[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1 페이지 / 전적]
둘레. 주위.
사위(四圍)[칠석가 8 페이지 / 전적]
사방.
사위국(舍衛國)[석천집(石川集二-三)2-3 46 페이지 / 전적]
인도 가비라위국(迦毘羅衛國)의 서북쪽으로 석가가 25년간 설법교화한 땅. 기원정사(祇園精舍)는 그 남쪽에 있었다 함.
사위산천(四圍山川)[선유가라 13 페이지 / 전적]
사방을 둘러싼 산과 강.
사유(四維)[이율곡선생권선가(李栗谷先生勸善歌) 3 페이지 / 전적]
사방의 네 방위인 건(乾)·곤(坤)·간(艮)·손(巽). 곧 서북·서남·동북·동남의 네 방위를 말함.
사유(四維)[인팔괘변역가(人八卦變易歌) 7 페이지 / 전적]
사방의 네 방위인 건(乾)·곤(坤)·간(艮)·손(巽). 곧 서북·서남·동북·동남의 네 방위를 이름. 또는 나라를 다스리는 데 지켜야 할 네 가지 원칙. 곧 예(禮)·의(義)·염(廉)·치(恥)를 말하기도 함.
사유(四維)[초당의 봄꿈 3 페이지 / 전적]
사방의 네 방위인 건(乾)ㆍ곤(坤)ㆍ간(艮)ㆍ손(巽). 곧 서북ㆍ서남ㆍ동북ㆍ동남의 네 방위를 이른다.
사유영어생지낙(死猶榮於生之樂)[명륜가(明倫歌) 49 페이지 / 전적]
죽음이 오히려 생활의 즐거움보다 영화로움.
사유오(巳酉午)[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8 페이지 / 전적]
동남과 서쪽과 정남 방향.
사육신(死六臣)[팔도안희가 7 페이지 / 전적]
성삼문(成三問, 1418-56), 하위지(河緯地, 1387-1456), 이개(李塏, 1417-1456), 유성원(柳誠源, ?-1456), 박팽년(朴彭年, 1417-1456), 유응부(兪應孚, ?-1456) 등을 단종을 위해 절개를 지켜 목숨을 잃은 여섯 분을 일컫는다.
사육신(死六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22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조 2년(1456)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된 여섯 명의 충신. 이개, 하위지, 유성원, 성삼문, 유응부, 박팽년(朴彭年)을 이름.
사육신(死六臣)[부모가훈계하는가사(부모가훈게하는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세조 2년(1456)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된 여섯 명의 충신. 이개, 하위지, 유성원, 성삼문, 유응부, 박팽년을 이른다.
사육신(死六臣)[축원하온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세조 2년(1456)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된 여섯 명의 충신. 이개, 하위지, 유성원, 성삼문, 유응부, 박팽년을 이름.
사육신(死六臣)[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4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조 2년(1456)에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된 여섯 명의 충신. 이개, 하위지, 유성원, 성삼문, 유응부, 박팽년(朴彭年)을 이른다.
사은(謝恩)[쌍옥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받은 은혜에 대하여 감사히 여겨 사례함.
사은(賜恩)[유례가(幼禮歌) 5 페이지 / 전적]
베푼 은혜.
사은사(謝恩使)[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63 페이지 / 전적]
명나라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보낸 임시 사절의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