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양(辭讓)[북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겸손하여 응하지 않거나 받지 않음.
사양(辭讓)[북쳔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겸손하여 받지 않거나 응하지 아니함.또는 남에게 양보함.
사양(辭讓)[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20 페이지 / 전적]
자기(自己)에게 이로운 것을 겸손(謙遜)하게 응(應)하지 않거나 받지 아니함.양보(讓步)함.
사양(辭讓)[연행별곡(연별곡) 10 페이지 / 전적]
자기(自己)에게 이로운 것을 겸손(謙遜)하게 응(應)하지 않거나 받지 아니함.양보(讓步)함.
사양(辭讓)[경장가(敬長歌) 8 페이지 / 전적]
자기에게 이로운 것을 겸손하게 응하지 않거나 받지 아니함.
사양(辭讓)[유례가(幼禮歌) 2 페이지 / 전적]
자기에게 이로운 것을 겸손하게 응하지 않거나 받지 아니함.
사양斜陽[ 1 페이지 / ]
석양.
사양지심(辭讓之心)[교훈가 4 페이지 / 전적]
사양하는 마음.
사어[팔역가(八域歌) 23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위나라의 어진 신하
사어(史魚)[석천집(石川集二-三)2-3 46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위(衛)나라의 현신(賢臣). 이름은 추(鰌). 위령공(衛靈公)이 현신인 거백옥(蘧伯玉)을 중용하지 않고 미자하(彌子瑕)를 임용하므로 죽음을 무릅쓰고 간(諫)했다. 이에 결국 영공은 자하를 물리치고 백옥을 임용하게 되었다. 이를 보고 공자(孔子)가 ‘곧도다 사어여(直哉, 史魚)’라고 칭찬했다.
사어시(私語時)[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3 페이지 / 전적]
드러내지 않고 조용히 속삭이는 말을 할 때.
사어시(私語時)[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 페이지 / 두루마리]
달이 밝은 한 밤중에 사사로이 말을 건널 때. 이백의 <장한가(長恨歌)> 중 ‘夜半無人私語時’를 에서 유래했다.
사어시(私語時)[차운 5 페이지 / 전적]
사랑하는 남녀가 정답게 소근거리며 말하는 시간.
사언(詐言)[남자답가라(남답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거짓말(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인 것처럼 꾸며 대어 말을 함).
사업(事業)[의향소창가 34 페이지 / 전적]
대를 이음.
사업(事業)[리행소챙가 21 페이지 / 전적]
대를 이음.
사업(事業)[김대비훈민가(김비훈민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어떤 일을 일정한 목적과 계획을 가지고 짜임새 있게 지속적으로 경영함. 또는 그 일.
사여(四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9 페이지 / 전적]
「四如」- 淇奧章의「瞻彼淇奧 綠竹猗猗 有斐君子 如切如磋 如琢如磨」를 말한것임.
사연(事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6 페이지 / 전적]
일의 앞뒤 사정과 까닭.
사연(辭連)[송강집(松江集二)2 180 페이지 / 전적]
말이 연루된다는 뜻. 史要에「上愈怒下膺等北寺獄辭連杜密陳寔范∝等二百餘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