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은숙배(謝恩肅拜)[장씨부인역사라 7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공손하고 경건하게 절을 올리던 일.
사은숙배(謝恩肅拜)[장씨부인역사라 7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공손하고 경건하게 절을 올리던 일.
사은숙배(謝恩肅拜)[후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공손하고 경건하게 절을 올리던 일.
사음(邪淫)[권왕가 28 페이지 / 전적]
간사하고 음란함.
사의(私誼)도[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5 페이지 / 전적]
사사로운 정의뿐도. 사사로운 정분뿐만.
사의(詞意)는 깊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5 페이지 / 전적]
「窅黙」―窅冥昏黙의 준 말인데 深遠하여 幽靜하다는 뜻임.
사이(四夷)[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6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중국의 사방에 있던 동이, 서융, 남만, 북적을 통틀어 이르던 말.
사이별(死離別)[추월감 8 페이지 / 두루마리]
죽어서 헤어짐.
사이유존(死而有存)[막소가(莫笑歌) 11 페이지 / 전적]
죽어도 살아있다.
사인(事人)[근혼가(謹婚歌) 6 페이지 / 전적]
어른은 모심.
사인(事人)[분별가(分別歌) 2 페이지 / 전적]
어른은 모심.
사인(死因)[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21 페이지 / 전적]
죽음의 원인.
사인(私人)[이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사삿사람. 개인 자격으로서의 사람.
사인(舍人)[옥셜화답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의정부(議政府)에 속한 정사품 벼슬.
사인교(四人轎)[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앞뒤에 각각 두 사람씩 모두 네 사람이 메는 가마.
사인교(四人轎)[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앞뒤에 각각 두 사람씩 모두 네 사람이 메는 가마.
사일斜日[ 1 페이지 / ]
지는해.
사일구혁명(四一九革命)[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9 페이지 / 전적]
<정치> 1960년 4월에 학생을 비롯한 국민들이 이승만 자유당 정부의 독재와 부정부패, 부정 선거에 항의하여 벌인 민주 항쟁. 4월 19일에 절정에 달하였으며, 4월 26일에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면서 자유당 정권이 붕괴되고, 제2 공화국이 탄생하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사자[로인가 8 페이지 / 전적]
죽은 사람의 혼을 저승으로 잡아간다는 귀신.
사자(使者)[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명령이나 부탁을 받고 심부름하는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