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사자(使者)[회심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사람의 혼을 저승으로 잡아간다는 저승의 귀신.
사자(使者)[초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사람의 혼을 저승으로 잡아간다는 귀신.
사자(使者)[초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죽은 사람의 혼을 저승으로 잡아간다는 귀신.
사자(使者)[한흥가라 12 페이지 / 전적]
명령이나 부탁을 받고 심부름하는 사람.
사자(使者)[한흥가라 12 페이지 / 전적]
명령이나 부탁을 받고 심부름하는 사람.
사자(使者)[한흥가라 12 페이지 / 전적]
명령이나 부탁을 받고 심부름하는 사람.
사자(使者)[한양가라 11 페이지 / 전적]
명령을 심부름하는 사람.
사자(四字)[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64 페이지 / 전적]
좌향좌우(坐向左右)의 4가지.
사자(士子)[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8 페이지 / 전적]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
사자(士子)[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2 페이지 / 전적]
벼슬을 하지 않은 선비.
사자(士者)[효행가(孝行歌) 5 페이지 / 전적]
선비.
사자(獅子)[관등가(觀燈歌) 3 페이지 / 전적]
사자탈을 쓰고 춤을 추면서 노는 민속놀이, 즉 사자놀이에 등장하는 사자. 취바리 : 산대놀이에 쓰이는 괴상한 모양의 남자의 탈. 또는 그 탈을 쓰고 춤추는 사람. 이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는 ‘체괄이’로 되어 있음.
사자님네[착현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사자(使者)는 심부름꾼이나 여기서는 죽은 사람의 혼을 저승으로 잡아가는 귀신
사자봉(獅子峯)[관동별곡 8 페이지 / 전적]
화룡소 북쪽에 있는 봉우리.
사자불가부생(死者不可復生)[소상팔경가 16 페이지 / 전적]
죽은 자는 다시 태어날 수 없음.
사자불가부생(死者不可復生)[자치가 18 페이지 / 전적]
죽은 자는 다시 태어날 수 없음.
사자염불(四字念佛)[자책가(가) 22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阿彌陀佛)’의 네 자를 외며 하는 염불.
사자왕(獅子王)[권왕가 59 페이지 / 전적]
서기 5세기로부터 12세기에 이르기까지 인도의 오리쓰사 지방을 지배한 사자 왕조(獅子王朝)의 왕. 결정설(決定說) : 정해진 태도나 뜻이 명확한 견해.
사장(師長)[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9 페이지 / 전적]
으뜸되는 스승.
사장(師長)[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9 페이지 / 전적]
으뜸되는 스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