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사친 종족(私親宗族)[사친가2(思親歌(二)) 4 페이지 / 전적]

본인의 친속(親屬)과 동성동본(同姓同本)의 겨레붙이.

사친(事親)[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18 페이지 / 전적]

어버이 섬기는 일.

사친(事親)[거상제향가(居喪祭享歌) 14 페이지 / 전적]

부모를 섬김.

사친(事親)[지효가(知孝歌) 2 페이지 / 전적]

부모를 섬김.

사친(事親)[지효가(知孝歌) 5 페이지 / 전적]

어버이를 섬김.

사친(事親)[효행가(孝行歌) 4 페이지 / 전적]

어버이를 섬김.

사친(事親)[빈주접례가(賓主接禮歌) 6 페이지 / 전적]

어버이를 섬김.

사친(事親)[통륜가(通倫歌) 2 페이지 / 전적]

어버이를 섬김.

사친(嗣親)[혼례가(婚禮歌) 8 페이지 / 전적]

어버이를 계승하는 것.

사친(嗣親)[근혼가(謹婚歌) 2 페이지 / 전적]

어버이를 계승하는 것.

사친(四親)[고봉선생문집 권이(高峰先生文集 券二) 80 페이지 / 전적]

부(父), 조(祖), 증조(曾祖), 고조(高祖)의 직계 4대를 가리킨다.

사친(思親)[오륜가라 12 페이지 / 전적]

어버이를 그리워하며 생각함.

사친(私親)[사향곡(향곡) 7 페이지 / 전적]

자신의 친족(親族).

사친(私親)[경명가(敬命歌) 4 페이지 / 전적]

자신의 친족(親族).

사친(私親)[경명가(敬命歌) 5 페이지 / 전적]

자신의 친족(親族).

사친도(私親道)[남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신의 친족(親族)에게 행하는 도리.

사친도(私親道)[남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자신의 친족(親族)에게 행하는 도리.

사친절어차시(思親切於此時)하니 감구로지여상(感劬勞之如傷)이라[사친가1(思親歌(一)) 11 페이지 / 전적]

이 같은 때엔 어버이의 그리움이 더욱 간절하니 구로지은이 살을 에는 듯 뼈저림을 느껴서라. 이곳 표제의 ‘劬勞’에 대한 가사 원문의 표기 ‘舊勞’는 오기인 듯. 사친(思親) : 어버이를 그리며 생각하는 것. 구로(劬勞) : 자식을 낳아 기르는 수고. 구로지은(劬勞之恩) : 자기를 낳아 기르느라고 고생한 부모의 은예.

사친정회(思親情懷)[별교사(별교) 7 페이지 / 두루마리]

어버이를 그리워하며 생각하는 마음.

사친지도(事親之道)[애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어버이를 섬기는 도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