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쇄미(鏁尾)[송강집(松江集三)3 29 페이지 / 전적]
여(黎) 나라 군신이 유리분산됨을 자탄한 것이다. 詩經 邶風에「鏁兮尾 兮流離之子」
쇄소(刷掃)[경게가라 16 페이지 / 전적]
쓸고 닦아 깨끗이 함.
쇄소(刷掃)[경게가라 16 페이지 / 전적]
쓸고 닦아 깨끗이 함.
쇄소(刷掃)[북쳔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더러운 것을 없애려고 깨끗이 쓸고 닦음.
쇄소(洒掃)[황남별곡(黃南別曲) 23 페이지 / 전적]
물을 뿌리고 비로 쓰는 일.
쇄소(灑掃)[경장가(敬長歌) 8 페이지 / 전적]
물을 뿌리고 비로 쓰는 일.
쇄소(灑掃)[유례가(幼禮歌) 2 페이지 / 전적]
물을 뿌리고 비로 쓰는 일.
쇄소응대(灑掃應對)[낙지가 8 페이지 / 전적]
물을 뿌리고 먼지를 쓸어 사람을 맞이함
쇄소응대(灑掃應對)[명륜가(明倫歌) 23 페이지 / 전적]
‘물을 뿌려 쓸고 응대한다’는 뜻으로, 집 안팎을 깨끗이 거두고 웃어른의 부름이나 물음에 응하여 상대함을 이르는 말.
쇄소응대(灑掃應對)[경영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물을 뿌려 쓸고 응대한다는 뜻으로, 집 안팎을 깨끗이 거두고 웃어른의 부름이나 물음에 응하여 상대함을 이르는 말.
쇄소응대(灑掃應對)[여행록이라(여녹이라) 14 페이지 / 전적]
물을 뿌려 쓸고 응대한다는 뜻으로, 집 안팎을 깨끗이 거두고 웃어른의 부름이나 물음에 응하여 상대함을 이르는 말.
쇄소응대(灑掃應對)[경장가(敬長歌) 7 페이지 / 전적]
물을 뿌려 쓸고 응대한다는 뜻으로, 집 안팎을 깨끗이 거두고 웃어른의 부름이나 물음에 응하여 상대함을 이르는 말.
쇄소응대(灑掃應對)[유례가(幼禮歌) 1 페이지 / 전적]
물을 뿌려 쓸고 응대한다는 뜻으로, 집 안팎을 깨끗이 거두고 웃어른의 부름이나 물음에 응하여 상대함을 이르는 말.
쇄소응대(灑掃應對), 진퇴절(進退節)[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60 페이지 / 전적]
물 뿌리고 비로 쓰는 일과 어른들의 물음에 응답하는 일, 어른 앞에 나아가고 뒤로 물러나는 예절.
쇄옥성(碎玉聲)[직금가라 10 페이지 / 전적]
옥을 깨뜨리는 소리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목소리를 이르는 말.
쇄장(鎖匠)[가사소리 23 페이지 / 전적]
옥쇄장.
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2 페이지 / 전적]
「衆口銷金」-여러 사람의 입부리는 쇠라도 녹인다는 뜻으로 輿論은 어찌할 수 없다는 말임. 國語 周語에 『衆心成城 衆口鑠金』 이라 했음.
쇠(衰)[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3 페이지 / 두루마리]
힘이나 세력이 점점 줄어서 약해지다.
쇠고(衰枯)[녁대가(녁가) 20 페이지 / 전적]
점점 쇠퇴하여 바닥이 남.
쇠골[노졍긔 20 페이지 / 전적]
인천부 부내면 금곡리 지역으로서 ‘쇠골’ 또는 ‘금곡’이라고 하였음. 현재 인천 동구 금창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