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송시열(宋時烈)[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7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 때의 문신ㆍ학자(1607~1689). 아명은 성뢰(聖賚).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庵)ㆍ우재(尤齋). 효종의 장례 때 대왕대비의 복상(服喪) 문제로 남인과 대립하고, 후에는 노론의 영수(領袖)로서 숙종 15년(1689)에 왕세자의 책봉에 반대하다가 사사(賜死)되었다. 저서에 ≪우암집≫, ≪송자대전(宋子大全)≫ 등이 있다.

송신(宋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7 페이지 / 전적]

「宋臣」-宋나라 정승 范仲淹을 말함。

송씨[팔역가(八域歌) 8 페이지 / 전적]

송덕봉, 전남 담양 출신 여장부로 이름 남

송악(松岳)[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3 페이지 / 전적]

개성의 옛 이름.

송악산(松嶽山)[한양가라 4 페이지 / 전적]

고려 때 수도가 있었던 개경(開京)에 있는 산.

송안군(送雁羣)[가사소리 17 페이지 / 전적]

봄이 되어 떠나가는 기러기 떼를 전송함.

송야(宋爺)[송강집(松江集三)3 49 페이지 / 전적]

명(明)나라 경락사(經畧使) 송응창(宋應昌)을 이름.

송양공(宋襄公)[녁대가(녁가) 24 페이지 / 전적]

송나라 양공. 중국 춘추 시대 송나라의 왕. 이름은 자부(玆父). 초나라와 홍(泓)에서 싸울 때 상대편에게 인정을 베풀다가 오히려 패하여 죽임을 당하였음.

송언신(宋言愼, 중종 37, 1542~광해군 4, 1612)[문청공유사 사계수필(文淸公遺事 沙溪手筆) 24 페이지 / 전적]

자는 과우(寡尤), 호는 호봉(壺峰). 부사 율(嵂)의 아들. 유희춘, 노수신, 이황의 문인. 선조 10년(1577)에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검열(檢閱), 정언(正言), 평안도관찰사, 병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지냈다. 1589년에 기축옥사 때에는 정여립과 가깝다는 이유로 부교리에서 파직되기도 했었다.

송연(悚然)[후원초당 봄이듯이 3 페이지 / 두루마리]

두려워 몸을 옹송그릴 정도로 오싹 소름이 끼치다.

송연(悚然)[후원초당 봄이듯이 8 페이지 / 두루마리]

두려워 몸을 옹송그릴 정도로 오싹 소름이 끼치다.

송엽주(松葉酒)[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솔잎을 넣고 빚은 술.

송엽주(松葉酒)[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솔잎을 넣고 빚은 술.

송옥(宋玉)[송강집(松江集一)1 53 페이지 / 전적]

초(楚)나라 사람인데 일찌기 비추부(悲秋賦)를 지었음.

송옥(宋玉)[석천집(石川集二-一)2-1 35 페이지 / 전적]

屈原의 弟子니 悲秋賦를 지었다

송옥(宋玉)[옥셜화답 10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말기 초나라의 궁정시인(B.C. 290?~B.C. 222?)으로, 굴원에게 사사하여 초나라의 대부에까지 이르렀으며, 굴원 다음가는 부(賦)의 작가로서 두 시인을 ‘굴송(屈宋)’이라 병칭(竝稱)하였음.

송옥(宋玉)[사시풍경가라 9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나라의 문인으로 작품으로 <구변(九辯)>, <초혼(招魂)>, <고당부(高唐賦)> 등이 있다.

송옥(宋玉)[녁대가(녁가) 36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말기 초나라의 궁정시인. 굴원(屈原)에게 사사하여 초나라의 대부(大夫)가 되었으나, 뒤에 실직하였음. 굴원에 다음가는 부(賦)의 작가로, 두 시인을 ‘굴송(屈宋)’이라 병칭(竝稱)하기도 함.

송운장(宋雲長)[송강집(松江集三)3 80 페이지 / 전적]

송구봉의 자(字).

송월松月[ 1 페이지 / ]

소나무에 걸린 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