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송죽(松竹)[윤낭자영남가(윤낭영남가) 9 페이지 / 전적]
소나무와 대나무가 사계절 푸른 모습을 은유하여 정절(貞節)이나 지조(志操)를 지킴을 말한다.
송죽(松竹)[한양가라 5 페이지 / 전적]
소나무와 대나무.
송죽(松竹)[축원하온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소나무와 대나무.
송중자(宋仲子) 빈천지교(貧賤之交)[ 1 페이지 / ]
중국 후한(後漢) 때의 송홍(宋弘). ‘중자(仲子)’는 그의 호임. 가난하고 미천한 때 사귄 사이, 또는 그러한 벗. 송홍(宋弘)이 이르되 ‘貧賤之交不可忘’ 이라고 이른 데서 인용한 말임.
송중자(宋仲子) 빈천지교(貧賤之交)[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3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後漢) 때의 송홍(宋弘). ‘중자(仲子)’는 그의 호임. 가난하고 미천한 때 사귄 사이, 또는 그러한 벗. 송홍(宋弘)이 이르되 ‘貧賤之交不可忘’ 이라고 이른 데서 인용한 말임.
송중자(宋仲子)[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6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後漢) 때의 송홍(宋弘). ‘중자(仲子)’는 그의 호임.
송중자(宋仲子)[자경별곡 16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後漢) 때의 송홍(宋弘). ‘仲子’는 그의 호임.
송중자(宋仲子)[권학가 1 페이지 / 전적]
중국 후한(後漢) 때의 송홍(宋弘). ‘仲子’는 그의 호임.
송지간(松枝間)[감별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소나무 가지 사이.
송지문[기원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초당의 시인. 오언시(五言詩)에 훌륭한 재능이 있었는데, 율시체(律詩體) 정비에 진력해 심전기, 두심언(杜審言) 등과 더불어 초당 후반의 문단에서 율시 유행의 선구로 공이 큼. 주요 저서에는《송지문집(宋之問集)》이 있음.
송지문(宋之問)[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9 페이지 / 전적]
중국 당(唐) 나라의 이름난 시인. 중국 산시성[山西省] 펀양[汾陽] 출신으로, 자(字)는 연청(延淸), 문집으로 <송지문집(宋之問集 )>이 있음.
송지문(宋之問)[사친가1(思親歌(一)) 8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초기의 시인. 자는 연청(延淸). 5언시에 뛰어났으며, 심전기(沈佺期)와 함께 율체(律體)를 창시하여 심송체(沈宋體)라고 불림.
송지문(宋之問)[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656?-712). 오언시에 뛰어났고, 심전기와 함께 율체를 창시하였다.
송지문(宋之問)[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656?-712). 오언시에 뛰어났고, 심전기와 함께 율체를 창시하였다.
송지문(宋之問)[차운 10 페이지 / 전적]
중국 당(唐)나라 초기의 시인(詩人). 측천무후(則天武后) 때에 여러 벼슬을 지내면서 권력에 아첨하여 추악한 짓을 거듭했으나, 율시(律詩) 형식을 완성한 인물.
송지문(宋之問)[상사가라 5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때 시인으로 소련(少連)이라고도 하며, 자(字)는 연청(延淸)이고, 괵주(虢州) 출신임. 어려서부터 이름이 알려졌는데 특히 오언시(五言詩)에 능했음. 그의 작품은 문사(文辭)가 화미(華靡)하며, 내용으로는 황제를 비롯한 지배층의 공덕(功德)을 노래하고 칭송하는 내용이 많았는데, 내쫓긴 뒤에는 감상적(感傷的)인 정서(情緖)가 많이 발견됨. 당나라 초기에 율시(律詩)의 형식이 완비되고 확정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끼쳤음.
송진우(宋鎭禹)[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5 페이지 / 전적]
정치가(1901~1972). 호는 우촌(牛村). 대한 노동 총연맹 위원장과 초대 사회부 장관을 지냈으며, 5선 국회 의원을 지냈다.
송진회(宋秦檜)[거창가 23 페이지 / 전적]
남송 고종 때의 재상(宰相)이며 자는 회지(會之)임. 악비(岳飛)를 무고하여 죽 이고 주전파(主戰波)를 탄압하여 금나라와 굴욕적인 화약(和約)을 체결하였으므로, 후세에 대표 적인 간신으로 지목되었음.
송진회(宋秦檜)[거창가 23 페이지 / 전적]
남송 고종 때의 재상(宰相)이며 자는 회지(會之)임. 악비(岳飛)를 무고하여 죽 이고 주전파(主戰波)를 탄압하여 금나라와 굴욕적인 화약(和約)을 체결하였으므로, 후세에 대표 적인 간신으로 지목되었음.
송진회(宋秦檜)[아림가(娥林歌) 27 페이지 / 전적]
진회(秦檜). 중국 남송(南宋) 초기의 정치가(1090~1155). 자는 회지(會之). 악비(岳飛)를 죽이고 주전파(主戰派)를 탄압하면서 금(金)과 굴욕적인 화약(和約)을 맺어 뒤에 간신으로 몰리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