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송응창(宋應昌)[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9 페이지 / 전적]
송응창(宋應昌, 1536년~1606년)은 명나라의 장수로 자는 사문(思文)이며 인화(仁和-지금의 항저우)사람이다. 가정(嘉靖)44년(1565년)에 진사에 뽑혔고 역관강주지부(歷官絳州知府), 부도어사(副都御史), 산동순무(山東巡撫), 주건영위순사(籌建營衛巡司)를 거치면서 정치를 잘한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1592년 12월 명군의 지휘부, 경략군문 병부시랑을 직으로 이여송(李如松)과 함께 4만 3000명의 명나라 2차 원군의 총사령관으로
송의松依[ 1 페이지 / ]
소나무가 우거짐.
송인(宋寅,1516-1584)[석천집(石川集二-三)2-3 101 페이지 / 전적]
조선 중종,선조 때의 학자,명필. 자는 명중(明仲), 호는 이암(頤庵). 중종의 세째 서녀 정순옹주(貞順翁主)와 결혼하여 여성위(礪城尉)가 되고 명종 때에 여성군(礪城君)에 봉해졌다. 시문에 능했으며 이황(李滉),조식(曺植) 등과 교분이 두터웠다.
송인수(宋麟壽)[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 문신. 형조참판 때 동지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대사성이 되어 유생들에게 성리학을 강론했다. 성리학의 대가로 선비들로부터 추앙받았다. 청주 신항서원 등에 배향되었다. 문집에《규암집》이 있다.
송입[후원초당 봄이듯이 1 페이지 / 두루마리]
송엽(松葉). 소나무 새입.
송전(松田)[경게가라 20 페이지 / 전적]
솔밭.
송전(松田)[경게가라 20 페이지 / 전적]
솔밭.
송정(松亭)[고분가 10 페이지 / 전적]
솔숲 사이에 지은 정자.
송정(松亭)[고분가 10 페이지 / 전적]
솔숲 사이에 지은 정자.
송정(松亭)[춘몽가(츈몽가) 37 페이지 / 전적]
피륙을 여러 폭으로 이어서 빙 둘러치는 장막.
송정(松亭)[춘몽가(츈몽가) 36 페이지 / 전적]
솔숲 사이에 지은 정자.정자나무의 구실을 하는 소나무.
송정(送呈)[화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윗사람께 편지나 물건 따위를 보내어 드림.
송제대왕[착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염라시왕 중 한 분인 송제대왕(宋帝大王).
송제대왕(宋帝大王)[일회심곡(一回心曲) 3 페이지 / 전적]
명부(冥府)의 시왕(十王) 중 세번째 왕으로 송제대왕은 명부에서 죽은자가 세 번째 맞이하는 칠일간의 일을 관장하는 관리. 송제대왕은 대해(大海)의 동남쪽 아래의 대지옥에 거주하면서 대지옥 안에 별도로 16지옥을 두어 죄의 가볍고 무거움에 따라 죄인을 각각의 지옥으로 보내는 일을 맡으며, 주로 사람들의 사음(邪淫)의 일을 다스림.
송제대왕(宋帝大王)[제삼별회심곡(第三別囬心曲) 4 페이지 / 전적]
사람이 죽은 지 3·7일(21일) 째 되는 날에 심판을 맡은 지옥의 대왕.
송제대왕(宋帝大王)[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저승에서 죽은 사람을 재판하는 열 명의 대왕 중 세 번째의 왕으로 죽은 자가 세 번째 맞이하는 칠일 간의 일을 관장. 송제대왕은 대해(大海)의 동남쪽 아래의 대지옥에 거주하면서 그 안에 별도로 16지옥을 두어 죄의 경중에 따라 죄인을 각각의 지옥으로 보내는 일을 맡으며, 특히 사음(邪淫)의 일을 다스림.
송종(送終)[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62 페이지 / 전적]
장사(葬事)에 관한 모든 일.
송죽(松竹)[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6 페이지 / 전적]
소나무와 대나무.
송죽(松竹)[몽별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소나무와 대나무.
송죽(松竹)[몽별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소나무와 대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