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송홍(宋弘)[녁대가(녁가) 47 페이지 / 전적]

후한 광무제(光武帝)는 과부가 된 누님을 송홍에게 시집보내고 싶어 그의 의향을 물어보았으나 송홍이 조강지처를 언급하며 사양하였음.

송화(松花)[석천집(石川集二-五)2-5 98 페이지 / 전적]

소나무꽃 또는 그 꽃가루. 송황(松黃)

송화강[팔역가(八域歌) 5 페이지 / 전적]

중국 동북 지방에 있는 강으로 백두산에서 발원하여 흑룡강으로 흐름

송화[셕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송화색(松花色). 소나무 꽃 색.

송희기[팔역가(八域歌) 33 페이지 / 전적]

고흥 출신 송희립 장군

송갓고 적성갓[형제붕우소회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소대(蘇臺)같고 적성(赤城)같다. ‘송대’는 소대(蘇臺)의 잘못된 표기인 듯함. 소대는 춘추전국 시대때 오(吳)나라 합려(闔廬)의 대(臺)이며, 적성은 사천성(四川省) 관현(灌縣)에 있는 산으로, 다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다.

쇄국주의(鎖國主義)[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3 페이지 / 전적]

다른 나라와의 통상과 교역에 반대하는 사상.

쇄락(洒落)[초당춘수곡 6 페이지 / 전적]

마음에 조금의 티나 집착이 없어 상쾌함

쇄락(洒落)[황남별곡(黃南別曲) 19 페이지 / 전적]

기분이나 몸이 상쾌하고 깨끗함.

쇄락(灑落)[석천집(石川集二-五)2-5 159 페이지 / 전적]

말끔하여 마음에 거리낌이 없음.

쇄락(灑落)[원시가(源時歌) 3 페이지 / 전적]

기분이나 몸이 상쾌하고 깨끗함.

쇄락(灑落)[환무자탄가 17 페이지 / 전적]

기분이나 몸이 상쾌하고 깨끗함.

쇄락(灑落)[용문가라 12 페이지 / 전적]

기분이나 몸이 상쾌하고 깨끗함.

쇄락(灑落)[두껍전이라(겁젼이라) 18 페이지 / 전적]

기분이나 몸이 상쾌하고 깨끗함.

쇄락(灑落)[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8 페이지 / 전적]

기분이나 몸이 상쾌하고 깨끗함.

쇄락(灑樂)[옥설가라 11 페이지 / 전적]

기분이나 몸이 상쾌하고 깨끗함.

쇄락洒落[ 1 페이지 / ]

마음에 집착이 없어 상쾌함.

쇄락한 그 마음은 연평(延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26 페이지 / 전적]

延平은 李侗인데 朱子가 師事하였음. 遯翁은 朱子의 晩年의 號임.

쇄마[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57 페이지 / 전적]

주로 사신의 왕래나 지방관의 교체시 및 진상품의 운반에 사용한 말로서 지방에 배치했으며 관용이다.

쇄문(鎖門)[청춘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문을 걸어 잠근다는 뜻. 또는 그러한 문.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