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찬(三竄)[송강집(松江集四)4 120 페이지 / 전적]
송응개(宋應漑) 허봉(許封), 박근원(朴謹元)세 사람의 귀양을 이름
삼척검(三尺劍)[한양가라 34 페이지 / 전적]
길이가 석 자 정도 되는 긴 칼.
삼척동자(三尺童子)[명궁처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키가 아직 석 자밖에 자라지 않은 아이라는 뜻으로, 철모르는 어린아이를 이름.
삼척장(三尺帳)[초한가라 16 페이지 / 전적]
삼 척쯤 되는 휘장, 혹은 군기.
삼척장검(三尺長劍)[초한가라 3 페이지 / 전적]
삼 척이나 되는 긴 칼.
삼천 길이나 되는 흰 머리가[석천집(石川集二-二)2-2 57 페이지 / 전적]
흰 머리가 삼천 길이나 되니, 시름 때문에 이처럼 길어졌는가.[白髮三千丈, 緣愁似箇長] -이백 <추포가(秋浦歌)>
삼천(三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2 페이지 / 전적]
「三千界」-佛說에 의하면「지금 吾人이 所住한 世界一千을 合하면 小千世界가 되고 다시 一千 中千世界를 合하면 大千世界가 된다. 그래서 총칭을 三千世界라한다. 그 뒤에는 오히려 華嚴世界 등이 있다」라 하였음.
삼천갑자 동방삭[회경가 2 페이지 / 전적]
중국 전한(前漢)의 동방삭이 갑자년(甲子年)을 삼천 번 겪으며 18만 살이나 살았다는 데서, 장수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삼천갑자(三千甲子)[백발가(白髮歌) 1 페이지 / 전적]
육십갑자의 삼천 배로 18만년을 이르며, 곧 오랜 세월을 뜻함.
삼천갑자(三千甲子)[백발가(白髮歌) 3 페이지 / 전적]
육십갑자의 삼천 배로 18만년을 이르며, 곧 오랜 세월을 뜻함.
삼천갑자(三千甲子)[거창가라 17 페이지 / 전적]
육십갑자의 삼천 배.곧 18만 년을 이른다.
삼천갑자(三千甲子)[아림가(娥林歌) 18 페이지 / 전적]
육십갑자의 삼천 배. 곧 18만 년을 이른다.
삼천갑자(三千甲子) 동방삭(東方朔)[로인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한(漢)나라 염차(厭次) 사람. 항상 경구(警句)와 기지(機智)에 찬 글로 훈련(訓練)하였다고 함. 우리나라에서는 ‘삼천갑자 동박삭’이라고 하여 불로장생(不老長生)의 인물로 전해 오지만, 전설에 지나지 않음.
삼천갑자(三千甲子) 동방삭(東方朔)[동상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한(前漢)의 동방삭이 갑자년(甲子年)을 삼천 번 겪으며 18만 살이나 살았다는 데서, 장수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삼천갑자(三千甲子) 동방삭(東方朔)[사모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전한의 동방삭이 십팔만 살을 살았다 하여 부르는 말로, 장수하는 사람의 비유이다. 삼천갑자는 육십갑자의 삼천 배로 십팔만 년이다.
삼천갑자동방삭(三千甲子東方朔)[춘몽가(츈몽가) 37 페이지 / 전적]
삼천갑자(18만 년)나 오래 산 동방삭이라는 뜻으로, 오래 사는 사람을 이르는 말.《한서(漢書)》의 〈동방삭전(東方朔傳)〉에 나오는 말.전한(前漢)의 무제(武帝)는 인재를 구한다는 소식을 천하에 공포하자 이에 제(齊)나라 사람인 동방삭은 대나무 한 짐에 글을 써서 무제에게 올림.동방삭의 글은 내용이 많을 뿐만 아니라 필체도 당당하여 읽는 데 두 달이나 걸렸다고 함.동방삭은 해학과 변론에 뛰어났고, 속설에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를 훔쳐 먹었기 때문에 죽지 않고 장수하였다 하여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부름.그의 해학과 재치는 언제나 무제를 즐겁게 해주어 무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때로는 무제의 사치와 부국강병책에 대해 간언하는 등 결코 단순한 익살꾼은 아니었음.
삼천갑 동방삭은[역대가라(역가라) 8 페이지 / 전적]
삼천갑자(三千甲子) 동방삭(東方朔)은. 한(漢)나라 무제(武帝) 때 사람. 금마문시중(金馬門侍中)을 지냈고, 해학과 변설로 이름 났다. 서왕모(西王母)의 복숭아를 훔처먹고 장수하였으므로 오래사는 사람의 비유로 쓰임.
삼천교(三遷敎)[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를 이르는 말로,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의 교육을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했음을 이르는 말이다.
삼천교(三遷敎)[고분가 6 페이지 / 전적]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를 이르는 말로,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의 교육을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했음을 이르는 말이다.
삼천그물 내려놓고 문왕(文王)풍기(風氣) 기대한다[자탄가 자탄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주나라의 문왕(文王)이 사냥을 갔다가 강태공을 만나 함께 돌아와 사부로 삼았다고 함. 나중에 무왕이 주왕(紂王)을 치는데 큰 공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