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일 마두(三日馬頭)[권학가 5 페이지 / 전적]
삼일 동안 말머리를 앞세우고 삼일유가(三日遊街)하던 일.
삼일 희생(三日犧牲)[사친가2(思親歌(二)) 4 페이지 / 전적]
사흘 동안 무릅썼던 희생. 본 가사에서는 딸의 결혼식을 올리는 동안 무릅썼던 어버이의 고생을 걱정하여 이른 것임. ‘삼일’은 ‘삼일 신부三日新婦’(‘신혼 3일의 신부’라는 뜻으로, 극히 궁하고 막히는 모습의 비유)라는 말로 연유하여 취한 말임.
삼일(三日)[칠여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해산하거나 혼인한 지 사흘째 되는 날.
삼일마두(三日馬頭)[팔도안희가 19 페이지 / 전적]
과거에 급제하여 삼일 동안 말을 타고 축하받는다는 뜻으로,
삼일운동[경노의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1919년에 벌어진 삼일독립만세운동을 말함.
삼일유가(三日遊街)[쌍옥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과거 시험에서 급제(及第)한 사람이 사흘 동안 스승과 선배 및 친지들을 찾아 인사를 드리기 위해 받는 휴가(休暇). 악사와 광대, 재인을 앞세워 질탕 나게 풍악을 울리며 행렬이 앞장서고, 머리에 어사화(御史花)를 꽂은 급제자가 말을 타고 인사를 다님.
삼일유가(三日遊街)[후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과거(科擧)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좌주(座主)와 선진자(先進者)와 친척을 방문하는 일.
삼일유가(三日遊街)[흥비가 8 페이지 / 전적]
과거에 급제한 사람들이 윗사람이나 친척들을 찾아뵙는 관례. 1일은 근정전에서 의식 거행. 2일은 문과장원 집에서 잔치후 임금께 사은, 3일은 무과장원 집에 모여 문묘에 참배후 거리 행진함.
삼일유과(三日遊科)[흥비가 6 페이지 / 전적]
지난날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사흘 동안 시관과 선배 친척 등을 방문하던 일.
삼일유과(三日遊科)[쳥츈상심곡(쳥츈심곡) 6 페이지 / 두루마리]
三日遊科大風流. 과거에 급제하면 3일간 풍류를 즐기던 풍습.
삼일입주(三日入住)[사친가2(思親歌(二)) 10 페이지 / 전적]
입주삼일(入住三日)을 두고 이르는 말. 삼일(三日) : 해산하거나 혼인한 지 사흘째 되는 날.
삼일제계(三日齋戒)[삼한가라(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종교적 의식 따위를 치르기 위하여 삼일동안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부정(不淨)한 일을 멀리함.
삼일테상[상사곡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삼일태상(三日太上). 삼일 가장 좋은 날. 가장 좋은 셋째 날.
삼일포(三日浦)[관동별곡 11 페이지 / 전적]
고성 북쪽에 있는 호수로서, 관동팔경의 하나.
삼일포(三日浦)[석천집(石川集二-三)2-3 75 페이지 / 전적]
강원도 고성군에 있는 호수로 신라 때에 영랑(永郞),술랑(述郞),남석랑(南石郞),안상랑(安祥郞) 등 네 신선이 여기에서 3일 동안 놀았다고 한다. 사선정(四仙亭),몽천암(夢天庵) 등의 고적이 있다
삼일포(三日浦)[금강산유람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강원도 고성군에 있는 호수로 관동팔경의 하나. 신라 때에 네 화랑이 이곳에 왔다가 아름다운 경치에 매료되어 사흘을 머물렀던 데서 유래된 명칭임.
삼자(三子)[금강산유람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금동거사가 자결하자, 뒤이어 따라 죽은 삼형제를 가리킴.
삼자순(三者順)[상방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한비자(韓非子)에 나오는 말로, 신사군(臣事君), 자사부(子事父), 처사부(妻事夫)의 세 가지가 순조로우면.
삼장(三藏)[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불교 경전을 경장, 율장, 논장의 세 종류로 분류한 것.
삼장동(三壯洞)[옥산가라 25 페이지 / 전적]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대곡리에 있는 지명. 이곳 출신인 조지서(趙之瑞)가 1474년(성종 5) 생원에 합격하고 진사에 2등으로 합격하고 그해에 문과에 급제, 후에 중시(重試)에 장원하여 장원급제를 세 번 한 사람이 사는 마을이라는 뜻에서 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