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상(三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8 페이지 / 전적]
삼정승(三政丞)과 같은 말로 의정부에서 국가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일을 맡아보던 세 벼슬.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이른다.
삼상(參商)[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46 페이지 / 전적]
「參商」―參星은 西方에 있고 商星은 東方에 있어 出沒에 서로보지 못하므로 사람의 不相遇에 비한 것임. 杜甫詩에「人生不相見 動如參與商」
삼상봉(三相峯)[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세 정승의 봉우리.
삼상봉(三相峯)[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세 정승의 봉우리.
삼상봉(三相峯)[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세 정승의 봉우리.
삼상연(三湘硯)[유경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광서성 흥안현(廣西省 興安縣)에서 흘러 나와 호남성 동정호(湖南省 洞廷湖)로 흘러 들어가는 냇물이 역사적으로 유명한 상수(湘水)인데 이것을 야기에 합류하는 냇물 이름에 따라 상류로부터 차례로 이상(灕湘), 소상(瀟湘), 중상(蒸湘)이라 하고 이 셋을 '삼상(三湘)'이라 함. 이 삼상에서 나는 벼루를 '삼상연(三湘硯)'이라 함.
삼상연(三湘硯)[유경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광서성 흥안현(廣西省 興安縣)에서 흘러 나와 호남성 동정호(湖南省 洞廷湖)로 흘러 들어가는 냇물이 역사적으로 유명한 상수(湘水)인데 이것을 야기에 합류하는 냇물 이름에 따라 상류로부터 차례로 이상(灕湘), 소상(瀟湘), 중상(蒸湘)이라 하고 이 셋을
삼상연지(三湘硯池)[남매상별가라(남매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이백의 ‘五老峰爲筆’詩에 “三湘作硯池(삼상을 벼루로 삼아서)”라는 구절이 있음.
삼생(三牲)[오륜가라 13 페이지 / 전적]
제사 때 쓰이는 짐승들로 소, 양, 돼지를 이름.
삼생(三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57 페이지 / 전적]
「三生」-佛家의 用語로 三世轉生의 뜻인데 즉 過去, 現在, 未來 三世의 人生을 말한 것임. 白居易詩에 『世說三生如不診 共疑巢許是全身』의 句가 있음.
삼생(三生)[의향소창가 24 페이지 / 전적]
불교에서 이르는 전생(前生), 금생(今生), 후생(後生).
삼생(三生)[리행소챙가 14 페이지 / 전적]
불교에서 이르는 전생(前生), 금생(今生), 후생(後生).
삼생(三生)[쌍옥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전생(前生), 현생(現生), 내생(來生)인 과거세, 현재세, 미래세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삼생(三生)[별한가 11 페이지 / 전적]
전생(前生), 현생(現生), 내생(來生)인 과거세, 현재세, 미래세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삼생(三生)의약(約)[낙향이별가 5 페이지 / 전적]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언약이란 뜻으로, 부부간의 인연을 이른다.
삼생가약(三生佳約)[우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전생, 현생, 후생의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아니할 아름다운 언약
삼생가약(三生佳約)[충행단국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언약. 곧 약혼(約婚)을 말함.
삼생가약(三生佳約)[삼팔가(三八歌) 7 페이지 / 전적]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아름다운 언약이라는 뜻으로, ‘약혼’을 달리 이르는 말.
삼생가약(三生佳約)[조선충효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아름다운 언약이라는 뜻으로, '약혼'을 달리 이르는 말.
삼생봉양[오륜가라 9 페이지 / 전적]
소,말,돼지고기로 부모를 봉양함. 삼생지양(三牲之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