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9,445개

삼소(三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37 페이지 / 전적]

「三笑」― 虎溪三笑를 말한 것임. 晋의 時代에 僧慧遠法師가 廬山東林寺에 居하면서 客을 전송하되 虎溪는 넘어가지 않았다.만약 넘어가면 범이 소리를 질렀다. 하루는 陶潛 및 道士 陸修靜과 함께 이야기하며 不知中에 넘어서니 범이 소리치므로 三人은 크게 웃고 작별했다. 그래서 세상이 三笑圖를 傳하게 된 것임

삼소파(三笑罷)[원유가 10 페이지 / 전적]

진나라의 중 혜원법사가 호계(虎溪)를 건너지 않겠다고 맹세했다. 그런데 도연경과 육수정 두 사람을 배웅하다가 이야기에 정신이 팔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호계에 이르러 범이 우는 소리를 듣고 세 사람이 대소하였다는 고사.

삼순(三旬)[오륜가라 18 페이지 / 전적]

서른 날.

삼순구식(三旬九食)[무제(▩▩▩▩) 8 페이지 / 두루마리]

삼십 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삼순구식(三旬九食)[충효가(忠孝歌) 19 페이지 / 전적]

30일 동안 식사를 9번 밖에 하지 못함. 가난하여 끼니를 제대로 챙겨먹지 못함을 이른다.

삼순구식(三旬九食)[무제(▩▩▩▩) 8 페이지 / 두루마리]

삼십 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삼순구식(三旬九食)[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18 페이지 / 전적]

삼순, 곧 한 달에 아홉 번 밥을 먹는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먹을 것이 없어 굶주린다는 말.

삼순구식(三旬九食)[연행별곡(연별곡) 8 페이지 / 전적]

삼순, 곧 한 달에 아홉 번 밥을 먹는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먹을 것이 없어 굶주린다는 말.

삼승(三乘)[셔왕가 3 페이지 / 전적]

오승(五乘) 중 중생을 생사를 넘어선 깨달음으로 이끄는 세 가지 교법(敎法)을 따로 묶어 이르는 말.

삼승(三升)[남여동락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240올의 날실로 짠 품질이 낮은 굵은 삼베.

삼승(三升)[남여동락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240올의 날실로 짠 품질이 낮은 굵은 삼베.

삼승(三升)[김씨효행가 41 페이지 / 두루마리]

석새삼베.

삼승(三升)버선[동상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석새삼베(240올의 날실로 짠 베라는 뜻으로, 성글고 굵은 베를 이르는 말)로 만든 버선이란 뜻으로 막 신는 버선을 이름.

삼승갈포(三升葛布)[화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240올의 날실로 짠 베라는 뜻으로, 성글고 굵은 베를 이르는 말인 석새로 만든 칡옷. 처사(處士)나 은사(隱士)의 차림.

삼시(三時)[효행록이라(효록이라) 12 페이지 / 전적]

아침, 점심, 저녁을 말함.

삼시(三時)[간양되소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한 시부터 따져서 셋째 번의 시. 곧 세 시를 이름.

삼시(三時)[간양되소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한 시부터 따져서 셋째 번의 시. 곧 세 시를 이름.

삼시(三時)[천황이복강어환과고독가(天皇이福降於鰥寡孤獨歌) 11 페이지 / 전적]

①한 시부터 세어서 세 번째의 시. 즉 세 시 ②아침, 점심, 저녁의 세 끼니, 또는 세 때 ③과거(過去), 현재(現在), 미래(未來) ④봄, 여름, 가을. 즉 밭 갈고 씨뿌리는 몸과 풀 베는 여름과 곡식(穀食)을 거두어 가을을 일컫는 말 ⑤정법(正法)시와 상법(像法)시와 말법(末法)시의 세 때

삼시(三時)[고분가 7 페이지 / 전적]

아침, 점심, 저녁의 세 끼니.또는 그 끼니때.

삼시(三時)[고분가 7 페이지 / 전적]

아침, 점심, 저녁의 세 끼니.또는 그 끼니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