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삼생봉양[오륜가라 9 페이지 / 전적]
소,말,돼지고기로 부모를 봉양함. 삼생지양(三牲之養).
삼생언약[소년애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생가약(三生佳約)이라고도 하는데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아름다운 언약(言約). 곧 약혼(約婚)을 이르는 말.
삼생언약[소년애절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생가약(三生佳約)이라고도 하는데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아름다운 언약(言約). 곧 약혼(約婚)을 이르는 말.
삼생언약(三生言約)[이별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말로써의 약속.삼생(三生) : 전생(前生)․현생(現生)․후생(後生)을 아울러 이르는 말.
삼생연분(三生緣分)[초한가라 21 페이지 / 전적]
세 번 태어나도 맺어지는 인연.
삼생연분(三生緣分)[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 부부간의 인연을 말함.
삼생연분(三生緣分)[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 부부간의 인연을 말함.
삼생연분(三生緣分)[거창가라 24 페이지 / 전적]
삼생을 두고 끊어지지 않을 깊은 인연.부부간의 인연을 이른다.
삼생지연(三生之緣)[벽천가 50 페이지 / 전적]
삼대에 걸친 인연.
삼선천(三禪天)[권왕가 50 페이지 / 전적]
색계 사선천(色界四天)의 하나. 앞에 든 색계(色界) 참조.
삼성(三省)[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81 페이지 / 전적]
「三省」-論語 學而篇에「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人諆而不忠乎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乎」라는 대문이 있음.
삼성도법(三聖道法)[역대삼재가라 10 페이지 / 전적]
세 성인. 부처, 공자, 노자를 말함.
삼성육부(三省六部)[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0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의 관제로 내사(內史)·문하(門下)·상서(尙書)의 삼성(三省)과 이(吏)·호(戶)·예(禮)·병(兵)·형(刑)·공(工)의 육부(六部)를 통틀어 이르던 말이다.
삼성인(三聖人)[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공자, 석가, 노자를 말함.
삼성인(三聖人)[셩경가 5 페이지 / 전적]
공자, 석가, 노자를 말함.
삼성혈(三姓穴)[제주여행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제주시 이도동에 있는 탐라국의 신화와 관련된 유적.삼성혈은 제주도의 고(高)·양(梁)·부(夫)씨의 시조인 고을나(高乙那)·양을나(良乙那·梁乙那)·부을나(夫乙那) 세 신인(神人)이 솟아났다는 신화가 전하는 3개의 구멍이다.모흥혈(毛興穴)이라고도 함.
삼성혈(三姓穴)[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5 페이지 / 전적]
제주도 동문 밖의 땅에 난 세 개의 큰 구멍으로 탐라의 개조(開祖)인 고(高), 부(夫), 양(良) 삼신(三神)이 나왔다는 전설이 있는 곳이다.
삼세(三世)[시양병가(侍養病歌) 2 페이지 / 전적]
①아버지, 아들, 손자(孫子)의 세 대.3대(三代) ②과거(過去), 현재(現在) 미래(未來)의 총칭(總稱).전세(前世), 현세(現世), 내세(來世)의 삼계(三界).삼제.
삼세여래(三世如來)[금강산유람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삼세여래(三世如來)
삼소[석천집(石川集二-二)2-2 200 페이지 / 전적]
송나라의 문장가였던 소순(蘇洵)과 그의 아들 소식(蘇軾) 소철(蘇轍)을 가리킨다. 소순을 노소(老蘇), 소식을 대소(大蘇), 소철을 소소(小蘇)라고 부른다. 소식의 호가 동파이다. 이들의 글을 모은 <<삼소문수(三蘇文粹)>>, 연표를 모은 <<삼소연표(三蘇年表)>> 등이 있다.